조경기사 필기 빈출문제 정리 4탄

기사/조경기사|2022. 2. 5. 20:45
728x90

 

조경사

 

다음 중 중세 수도원의 회랑식 중정(Cloister Garde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부분으로 구획되어진 중정이 있다.

   분수는 중정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페리스틸리움(peristylium)의 구조와 동일하게 흉벽을 두지 않았다.

   수도원 내의 다른 건물들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해설>

흉벽을 두어 통제했음


스페인의 알함브라 궁전의 4개 중정 가운데 이슬람 양식은 부분적으로 보이면서도 기독교적인 색채가 강하게 가미되어 있는 중정은?

   알베르카 중정(Patio de la Alberca), 사자의 중정(Patio de los Leons)

   사자의 중정(Patio de los Leons), 다라하 중정(Patio de Leons)

    린다라야 중정(Lindaraja), 창격자 중정(Patio de Reja)

   창격자 중정(Patio de Reja), 알베르카 증정(Patio de la Alberca)

 

<해설>

린다라야의 중정

-기독교 색채와 여성적 분위기, 이슬람 양식
-여러 개의 부속된 분수 설치


담양 소쇄원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소쇄원 48영시에는 목본 16, 초본 5종의 식물이 나타난다.

     광풍, 제월의 당호는 이덕유의 평천장고사에서 인용한 것이다.

    조담에서 떨어지는 물은 홈통을 통해 방지로 유입된다.

    매대라고 불리는 화계는 자연석을 2단으로 쌓아 만든 구조물이다.

 
담양 소쇄원

다음 중 프랑스의 영향을 받은 영국 내 조경작품이 아닌 것은?

    멜버른 홀(Melbourne Hall)

    브라함 파크(Bramham Paek)

    햄프턴 코트(Hamptom Court)

     버컨헤드 공원(Birkenhead Park)

버컨헤드 공원

 

<해설>

-조셉 팩스턴이 설계

-시민의 힘으로 설립된 최초의 공원


조선시대에 조영된 별서정원 작정자의 연결이 틀린 것은?

    옥호정-김조순 남간정사-송시열

    소쇄원-양산보  명옥헌-정영방

 

 

<해설>

명옥헌 - 오명중, 서식지원 -정영방

 

조경계획

용적률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건축물의 일조, 채광, 통풍의 확보와 관련된 개념이다.

    화재시 연소의 차단, 소화 작업, 피난처 역할을 확보 할 수 있게 한다.

    식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이다.

     입체적인 건축 밀도의 개념이다.

 

<해설>


공장조경계획의 기본원칙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환경개선 효과가 큰 수종을 선정한다.

     공장의 차폐를 위한 부분적 식재에 중점을 둔다.

    임해공장의 경우 내조성을, 공장녹화용수로는 내연성을 고려한다.

    공장의 성격과 입지적 특성에 따라 개성적인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해설>

식재보다는 경관에 더 중점을 둔다


미적 반응(aesthetic response) 과정이 올바른 것은?

    자극자극선택자극탐구반응자극해석

    자극자극선택자극탐구자극해석반응

    자극자극탐구자극선택반응자극해석

     자극자극탐구자극선택자극해석반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레크리에이션 계획의 접근 방법은?

  자원접근법 활동접근법

   경제접근법  행태접근법


환경영향평가법 시행령에서 규정한 전략환경영향평가서의 내용으로 틀린 것은?

     대상사업이 실시되는 지역의 경관 및 방재가 포함되어야 한다.

    전략환경영향평가 항목 등의 결정내용 및 조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개발기본계획의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 대한 주민, 관계 행정기관의 의견 및 이에 대한 반영 여부가 포함되어야 한다.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구체적인 내용과 작성방법 등에 관하여 필요한 세부사항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를 거쳐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해설>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해 자연생태ㆍ자연경관을 특별히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을 생태ㆍ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다음 중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자연경관의 훼손이 심각하게 우려되는 지역

    다양한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지역

    지형 또는 지질이 특이하여 학술적 연구 또는 자연경관의 유지를 위하여 보전이 필요한 지역

    자연 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보전 및 학술적 연구 가치가 큰 지역

 

<해설>

제12조(생태ㆍ경관보전지역) ①환경부장관은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으로서 자연생태ㆍ자연경관을 특별히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을 생태ㆍ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1. 자연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보전 및 학술적연구가치가 큰 지역

2. 지형 또는 지질이 특이하여 학술적 연구 또는 자연경관의 유지를 위하여 보전이 필요한 지역

3. 다양한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생태계의 표본지역

4. 그 밖에 하천ㆍ산간계곡 등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특별히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

②환경부장관은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ㆍ관리를 위하여 생태적 특성, 자연경관 및 지형여건 등을 고려하여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지정ㆍ관리할 수 있다.

1. 생태ㆍ경관핵심보전구역(이하 “핵심구역”이라 한다) :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훼손방지를 위하여 특별한 보호가 필요하거나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특별히 보호하고자 하는 지역

2. 생태ㆍ경관완충보전구역(이하 “완충구역”이라 한다) : 핵심구역의 연접지역으로서 핵심구역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

3. 생태ㆍ경관전이(轉移)보전구역(이하 “전이구역”이라 한다) : 핵심구역 또는 완충구역에 둘러싸인 취락지역으로서 지속가능한 보전과 이용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③환경부장관은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이 군사목적 또는 천재ㆍ지변 그 밖의 사유로 인하여 제1항에 따른 생태ㆍ경관보전지역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거나 보전할 필요가 없게 된 경우에는 그 지역을 해제ㆍ변경할 수 있다.


우리나라 스키장 계획 관련 설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남서향 사면에 계획

    정상부는 급경사, 하부는 완경사로 계획

    관련 시설을 포함하여 최소 10ha 이상의 면적이 바람직함

    동계기간에 강설량이 많고, 적설기의 우천일수가 적은 곳

 
 
 

<해설>

북동향임


각 각의 운동시설 계획 시 고려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농구코트의 장축 방위는 남-북 축을 기준으로 하고, 가까이에 건축물이 있는 경우에는 사이드라인을 건축물과 직각 혹은 평행하게 배치 계획한다.

    배구장의 코트는 장축을 동-서로 설치하고, 주풍 방향에 수목을 설치하지 않고, 환기를 원활하게 계획한다.

    야구장의 방위는 내ㆍ외야수의 플레이를 고려하여, 홈 플레이트를 서쪽과 남동쪽 사이에 자리 잡게 계획한다.

    테니스 코트 장축의 방위는 정동-서를 기준으로 남서 5~15° 편차 내의 범위로 하며, 가능하면 콤트의 장축 방향과 주 풍향의 방향이 다르도록 계획한다.

 

<해설>

배구장 - 남북
야구장 - 동쪽과 북서쪽
테니스장 - 정남-북

 

 

 

조경설계

먼셀의 색입체를 수평으로 잘랐을 때 나타나는 특징을 표현한 용어는?

    등색상면  등명도면

    등채도면 등대비면

 

<해설>

수직 - 등색상면
수평 - 등명도면


평행주차형식의 경우 일반형 주차구획 규격의 기준은? (, 규격은 너비×길이 순서임)

    1.7미터 이상×4.5미터 이상

    2.0미터 이상×3.6미터 이상

    2.5미터 이상×5.0미터 이상

     2.0미터 이상×6.0미터 이상

 

<해설>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3조

300x250

시각적 복잡성과 시각적 선호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일반적으로 중간 정도의 복잡성에 대한 시각적 선호도가 가장 높다.

    복잡성이 아주 낮은 경우에 시각적 선호도가 낮아진다.

     시각적 복잡성이 아주 높은 경우에 시각적 선호도가 가장 높다.

    시장은 학교보다 훨씬 높은 정도의 복잡성이 요구된다.

 
 

<해설>

시각적 복잡성이 적절할 경우 선호도가 가장 높음

 

 


다음 그림은 제3각법으로 제도한 것이다. 이 물체의 등각 투상도로 알맞은 것은?.

 

 

 

조경식재

생태적 천이(ecological success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내적공생 정도는 성숙단계에 가까울수록 발달된다.

    생활 사이클은 성숙단계에 가까울수록 길고 복잡하다.

     생물과 환경과의 영양물 교환 속도는 성숙단계에 가까울수록 빨라진다.

    영양물질의 보존은 성숙단계에 가까울수록 충분하게 된다.

 

<해설>

※생태적 천이

- 성숙단계로 갈수록 순군집생산량이 낮다
- 성숙단계로 갈수록 생물체의 크기가 크다
- 성숙단계로 갈수록 생활사이클이 길고 복잡함
- 성숙단계로 갈수록 생태적 지위의 특수화가 넓어짐


시기적으로 꽃이 가장 먼저 피는 수목은?

     풍년화(Hamamelis japonica)

    무궁화(Hibiscus syriacus)

    모란(Paeonia suffruticosa)

    나무수국(Hydrangea paniculata)

 

<해설>

 - 풍년화(2월)
 - 무궁화, 나무수국(7~8월)
 - 모란(5월)


화서(花序, inflorescence) 종류 중 무한화서(총상화서)”에 해당하는 것은?

    수수꽃다리(Syringa oblata)

     때죽나무(Styrax japonicus)

    목련(Magnolia kobus)

    작살나무(Callicarpa japonica)

<해설>

수수꽃다리(원추화서)
목련, 작살나무(유한화서)


생물종 다양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생물종 다양성의 이론은 열대지방에서만 적용되는 것이므로 온대지방에서는 문제가 없음

     일반적으로 생태적 천이단계에서 극상림은 생물종 다양성이 발전단계보다 낮아짐

    도시지역에서는 인위적으로 생물종 다양성을 높일 수 없음

    엔트로피가 증가되면 생물종 다양상은 반드시 증가함

 

 

조경시공구조학

다음 설명하는 배수 계통의 종류는?

   직각식(直角式) 차집식(遮潗式)

    선형식(扇形式)  방사식(放射式)

 

<해설>

-직각식 : 하천이 도시의 중심을 지나거나 해안에 따라 발단된 도시에 하수처리장이 없는 경우 설치함
-차집식 : 직각식을 보완한 방법이고, 오염을 막기 위해 하천, 호수, 바다 등에 차집거를 설치하여 방류하는 방식
-선형식(편형식) : 지형이 한쪽방향으로 경사되어 있을 때 나무가지처럼 배치하여서 한곳으로 모아 배치하는 방식


축척 1:1500 지도상의 면적을 잘못하여 축척 1:1000으로 측정하였더니 10000m2 나왔다면 실제의 면적은?

    15,000m² 18,700m²

     22,500m² 24,300m²

 

<해설>

실제면적 = 도상면적 X 축척²

10000 = 도상면적 X 1000²

실제면적  = 0.01 X 1500² = 22500m²


합성수지 중 건축물의 천장재, 블라인드 등을 만드는 열가소성수지는?

    요소수지 실리콘수지

    알키드수지  폴리스티렌수지


시방서 작성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시공에 대한 주의사항

     재료의 수량 및 가격

    시공에 필요한 각종 설비

    재료 및 시공에 관한 검사


평판 측량에서 평판을 세울 때 발생하는 오차 중 다른 오차에 비하여 그 영향이 매우 큰 오차는?

    거리 오차 기울기 오차

     방향 맞추기 오차 중심 맞추기 오차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표는 결합점(Event, node)이라 한다.

    작업(activity)은 화살표로 표시하고 화살표에는 시종으로 동그라미를 표시한다.

    동일 네트워크에 있어서 동일 번호가 2개 이상 있어서는 아니 된다.

     화살표의 윗부분에 소요시간을 밑 부분에 작업명을 표기한다.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의 유형과 그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고정하중 : 구조물과 같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작용하는 하중이며, 구조체나 벽 등의 체적에 재료의 단위용적 중량을 곱하여 구한다.

    집중하중 : 하중이 구조물에 얹혀있는 면적이 아주 좁아 한 점으로 생각되는 경우의 하중이다.

    눈하중 : 구조물에 쌓이는 눈의 중량을 말하며, 지붕의 경사각이 30°를 넘는 경우 눈하중을 경감할 수 있다.

     풍하중 : 구조물에 재난을 주는 빈도가 높은 하중이며, 특히 내륙지방에서는 20%를 증가시켜 적용한다.

 
 
조경관리론

멀칭(mulching)의 효과가 아닌 것은?

    토양수분이 유지된다.

    토양의 비옥도를 증진시킨다.

     염분농도를 증진시킨다.

    점토질 토양의 경우 갈라짐을 방지한다.


종 운동경기장, 골프장의 Green, Tee Fairway 등과 같이 집중적인 재배를 요하는 잔디 초지는 답압의 내구력과 피해로부터 빨리 회복되는 능력 등이 매우 중요하다. 다음 중 잔디 초지류의 내구성에 대한 저항력이 가장 강한 것은?

    Perennial ryegrass Creeping bentgrass

    Kentucky bluegrass  Tall fescue

 

아스팔트 콘크리트 도로 포장의 균열 파손을 보수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표면처리 공법 덧씌우기 공법

     모르타르 주입공법 패칭공법


소나무좀은 유충과 성충이 모두 소나무에 피해를 가하는데, 신성충이 주로 가해하는 곳은?

    소나무 잎 소나무 뿌리

    수간 밑부분  소나무 새가지

 
728x90

댓글()

조경기사 필기 빈출문제 정리 3탄

기사/조경기사|2022. 1. 29. 12:23
728x90
조경사

 

서방사경원(西芳寺景圓) 못 속에 같은 크기와 모양의 암석을 배치하여 보물을 실어 나가거나, 싣고 들어오는 선박을 상징하는 것은?

   쓰꾸바이 야리미즈

   비석         야박석

 

<해설>

서방사정원 : 고산수 지천회유식 정원, 여러개 소지 가장자리에 야박석이 있음


윤선도의 보길도 부용동 원림과 관련이 없는 것은?

   세연정 낭음계

    수선루 동천석실

 

<해설>

보길도 원림 :  대한민국의 명승 제34호로 지정된 문화재 조선시대의 문신, 시인, 학자 윤선도가 여생을 보낸 곳

 

관련 유적

세연정, 세연지, 동천석실, 낙서재, 승룡대, 낭음계 등

출처 : wando.go.kr

 


중국 소주(蘇州)지방의 명원 조성시대 순서가 맞게 연결된 것은? (, 사자림(猞子林), 졸정원(拙政園), 창랑정(瘡浪亭)을 대상으로 한다.)

    사자림 창랑정 졸정원

    사자림 졸정원 창랑정

    졸정원 사자림 창랑정

     창랑정 사자림 졸정원

<해설>

중국의 4대 명원

창랑정, 사자림, 졸정림, 류원

송나라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순이다.

 

발굴조사를 통해 밝혀진 경주 동궁과 월지(안압지)의 조경 기법으로 맞는 것은?

    좌우대칭의 기하학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연못의 큰 섬에는 모래를 사용한 평정고산수법으로 꾸몄다.

     넓은 바다를 연상할 수 있도록 조상하였고, 수위(水位)를 조절하였다.

    회유식(回遊式) 정원의 수법을 도입하여 산책로의 기능을 강화하였다.

 

<해설>

안압지는 통일신라 조경유적지로서 674년에 지어졌고

동물들을 기르기도 하였다. 특징은 3번과 같다


원명원을 복원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는 견문기를 편지로 쓴 사람은?

   Willian Chambers Willian Temple

   Harry Beaumont  Jean Denis Attiret

 

 

<해설>

Jean Denis Attiret는 중국 견문기써서 친구한테 편지보내서 발간했는데 원명원을 복원하는데 잘쓰임


고대인도(무굴제국)의 정원요소가 아닌 것은?

     녹음수

    연꽃  마운딩

 

<해설>

물 : 종교적으로 쓰임
녹음수 : 인도에서 중요시 여기는 것중 하나
연꽃 : 연못에 심는다
높은담 : 담이 높으면 사생활 보호가 잘되어서

 

 

조경계획

맥하그(Ian McHarg)가 주장한 생태적 결정론(ecological determinism)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인간행태는 생태적 질서의 지배를 받는다는 이론이다.

생태계의 원리는 조경설계의 대안결정을 지배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인간환경은 생태계의 원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인간사회는 생태적 진화를 이루어 왔다는 이론이다.

 자연계는 생태계의 원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생태적 질서가 인간환경의 물리적 형태를 지배한다는 이론이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에서 정의 된 ( )안의 용어는?

     지구단위계획 개발실시계획

    개발단위계획 도시기반계획

 

<해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5. “지구단위계획”이란 도시ㆍ군계획 수립 대상지역의 일부에 대하여 토지 이용을 합리화하고 그 기능을 증진시키며 미관을 개선하고 양호한 환경을 확보하며, 그 지역을 체계적ㆍ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도시ㆍ군관리계획을 말한다.


환경영향평가(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와 이용후 평가(post occupancy evalution)의 비교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두 가지 모두 환경설계 평가의 범주에 속한다.

환경영향 평가는 개발 전에, 이용후 평가는 개발 후에 실시한다.

 두 가지 모두 미국의 국가환경정책법(NEPA)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다.

우리나라의 환경영향평가법은 환경영향평가의 대상 사업을 규정하고 있다.

 

 

<해설>

환경영향평가제도는 1969년 미국 국가환경정책법으로부터 시작됨


다음 중 국립공원 내 공원자연보존지구에서 할 수 있는 행위가 아닌 것은?

학술연구로서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최소한의 행위

해당 지역이 아니면 설치할 수 없다고 인정되는 통신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른 최소한의 시설 설치

 산불진화 등 불가피한 경우의 임도 설치 사업

사방사업법에 따른 사방사업으로서 자연 상태로 두면 심각하게 췌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 이를 막기 위하여 실시되는 최소한의 사업

 

<해설>

자연공원법 시행령 제14조의2(공원자연보존지구에서의 행위기준)   제18조제2항제1호가목에 따라 공원자연보존지구에서 허용되는 최소한의 행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학술진흥법」 제2조제2호에 따른 대학 또는 같은 조 제3호에 따른 연구기관이 학술연구를 위하여 조사하는 행위

2. 「산림보호법」 제7조제1항제5호에 따른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 산림유전자원의 보호ㆍ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행위

3. 「문화재보호법」 제44조제45조  제74조제2항에 따른 국가지정문화재, 시ㆍ도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의 현상, 관리, 전승(傳乘) 실태, 그 밖의 환경보전상황 등의 조사ㆍ재조사 행위

4. 그 밖에 학술연구, 자연보호 또는 문화재의 보존ㆍ관리를 위하여 관계 법령에 따라 해당 행정기관의 장이 이 지역이 아니고는 시행할 수 없다고 인정하여 요청하는 행위


자전거 도로와 관련된 기준으로 틀린 것은?

 종단경사가 있는 자전거도로의 경우 종단경사도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도로의 최소 길이를 제한길이라 한다.

자전거도로의 통행용량은 자전거의 주행속도 및 자전거 통행 장애 요소 등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자전거전용도로의 설계속도는 시속 30킬로미터 이상으로 한다.

자전거도로의 폭은 하나의 차로를 기준으로 1.5미터 이상으로 한다.

<해설>

종단경사가 있는 자전거도로의 경우에는 종단경사도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도로의 최대 길이를 제한길이라고 함


레크리에이션 대상지의 수요를 크게 좌우하는 3요인은 이용자들의 변수, 대상지 자체의 변수, 접근성의 변수이다. 다음 중 접근성의 변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여행시간, 거리 준비 비용

    정보  여가습관

 

<해설>

레크리에이션 수요 요인

  • 이용자
  • 대상지 
  • 접근성

 

 

조경설계

조경설계 과정 중 주로 시설의 배치계획 및 공사별 개략설계를 작성하여 사업실시에 관계되는 각종 사항의 판단에 도움을 주기 위해 진행되는 과정은?

    기본계획  기본설계

    실시설계 현장설계

 

 


다음 중 연두(GY)의 보색으로 맞는 것은?

    자주(RP) 주황(YR)

     보라(P) 파랑(B)

 

<해설>

보라 - 연두
주황 - 파랑
자주 - 녹색


투시도에 사용되는 용어의 설명 중 틀린 것은?

     기선(GL, Ground line) : 화면상의 눈의 중심을 통한 선이다.

    족선(FL, Foot line) : 물체의 평면도의 각점과 장점을 이은 직선이다.

    소점(VP, Vanishing point) : 선분의 무한 원점이 만나는 점이다.

    시점(PS, Point of sight) : 기준면 상에 보는 사람의 위치를 말한다.

 

다음 중 치수선을 표시하는 방법이 틀린 것은?

치수의 단위는 원칙적으로 mm이다.

치수의 기입은 치수선에 평행하게 기입한다.

 협소한 간격이 연속될 때에는 치수선에 겹쳐 치수를 쓸 수 있다.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

 
 

<해설>

연속될 때에는 인출선 사용함

 

 

 
조경식재


극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극상 군집은 환경과의 평형을 이루고 있다.

 토지극상은 변질된 기후 및 배수와 같은 여러 조합과 결부되어 나타난다.

 기후극상은 대기후 아래에서 여러 가지 극상으로 수렴된다는 것이다.

 극상은 천이계열의 최종적인 안정된 군집이다.

 

<해설>

기후극상은 한가지 극상임


수종과 학명의 연결이 틀린 것은?

    은행나무 : Ginkgo biloba

     느티나무 : Liriodendron tulipifera

    신갈나무 : Quercus mongolica

    소나무 : Pinus densiflora

 

<해설>

느티나무 : Zelkova serrata


다음 중 식생 천이(遷移)의 과정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나지초생지지의류관목지교목지극상

    지의류나지초생지관목지교목지극상

     나지지의류초생지관목지교목지극상

    초생지나지지의류교목지관목지극상

 

 

조경시공구조학

등고선의 성질이 옳지 않은 것은?

    동일한 등고선 상에 있는 모든 점은 같은 높이이다.

    산정과 요지(오목한 곳)에서는 등고선이 폐합된다.

    급경사지는 간격이 좁고, 완경사지는 간격이 넓다.

     높은 쪽의 등고선 간격이 넓으면 요사면 이다.

 

 

<해설>

요사면 : 표고가 높은곳의 등고선 간격이 가깝고 낮은 곳의 간격이 멀어지는 지형


다음 그림과 같은 도로의 수평노선에서 곡선장(L)과 접선장(T)의 길이는 약 얼마인가?

 

     L: 104.7m, T:62.9m L: 104.7m, T:25.3m

    L: 52.5m, T:62.9m L: 425.3m, T:104.7m

 
 
 

<해설>

L = 2πRI / 360 = 2π x 75 x 80 / 360 = 104.7m

TL = R tan(0.5I) = 75 x tan(40) = 62.9m

 

그림과 같은 내민보의 점A에 모멘트가, C에 집중하중이 작용한다. 지점 A에서 3m떨어진 단면에 작용하는 전단력의 크기는 몇 kN인가?

     1 4

    8 9

 

Mb= 8 x 1 - 4 -Ra x 4 = 0

Ra = 1

 

조경관리론

레크리에이션 이용의 특성과 강도를 조절하는 관리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용자를 유도하는 방법은 부지관리기법에 해당되지 않는다.

부지관리기법은 부지설계, 조성 및 조경적 측면에 중점을 두는 방법이다.

간접적 이용제한은 이용행태를 조절하되 개인의 선택권을 존중하는 방법이다.

직접적 이용제한 관리기법은 정책 강화, 구역별 이용, 이용강도 및 활동의 제한 등이 있다.

 
728x90

댓글()

조경기사 필기 빈출문제 정리 2탄

기사/조경기사|2022. 1. 27. 01:02
728x90
조경사

 

정원

다음 보기의 단면도와 같은 배치를 보이는 르네상스 시대의 별장 정원은?

  

   란셀로티장(Villa Lancelotti)

    란테장(Villa Lante)

   에스테장(Villa dEste)

   카스텔로장(Villa Castello)

 

<해설> 

란테장 특징

  • 숲으로 둘러싸인 공원임
  • 4개의 다리와 섬이 연결되어있고 섬 안에 네 사람의 군상이 새겨진 분수가 있음
  • 정원의 축과 연못의 축이 일치
  • 4개의 노단이 각 특징이 있음 정방형/ 플라타너스 군식 / 거인의 분수/ 돌고래 분수 

 

보르뷔콩트

보르뷔콩트(Vaux-Le-Vicomte)의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기하학, 원근법, 광학의 법칙을 적용하였다.

    루이 14세에 의해 만들어졌다.

   비스타 가든(Vista Garden)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프랑스 조경의 평면기하학을 양식을 대표하는 정원의 하나이다.

 

 

<해설> 

루이 14세가 자신의 부와 권력을 과시하려고 만든 곳.

 


조경계획

 

최대일률

이용자수 추정 시 활용되는 “최대일률(피크율)”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최대일률이 높을수록 좋다.

    최대일 이용자 수에 대한 최대 시 이용자수의 비율이다.

     연간 이용자 수에 대한 최대일 이용자 수의 비율이다.

    최대일률은 계절형과 관계없이 일정하다.

 

<해설>

최대일률 = 최대일 이용자수 / 연간 이용자수


조경설계

 

입체도

다음 입체도를 제3각법 정투상도로 옳게 나타낸 것은?


조경식재

 

수종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4계절 구분 중 개화시기가 다른 수종은?

    무궁화(Hibiscus syriacus)

    능소화(Campsis glandiflora)

    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해설>

5월 : 모란, 병꽃나무, 산딸나무

7월 : 배롱나무, 무궁화, 능소화


조경관리론

 

솔잎혹파리

솔잎혹파리가 겨울을 나는 형태는?

     성충

     유충 번데기

 
화본과 잡초

잡초 중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며, 잎집과 잎몸의 이음새에는 막이 있고, 털이 밖으로 생장한 모습의 잎혀가 있으며, 잎맥이 평행한 특성을 가지는 것은?

     화본과 명아주과

    사초과 마디풀과

 

<해설>

1.직립형, 굴곡형, 포복형

2. 잎집과 이음새에 막이있다. 

식물의 종류에 따라 털이 있는게 있다.

 

멀칭의 효과

멀칭의 효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토양 수분 유지 잡초 발생 억제

    토양 침식 방지  토양 고결 조장

 

<해설>

1. 토양 수분유지

2. 침식 및 수분 손실 방지

3. 토양구조 개선

4. 비옥도 좋아짐

5. 잡초 억제

6. 토양 굳음 방지

7. 토양 적정 온도 유지

8. 염분 농도 조절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