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국가직7급 수리수문학 5~8번 풀이

728x90

Q=kia만 알면 아주 쉽게푸는 문제입니다.

 

그러나 국가직에서는 잘 안낚지만 가끔

 

day를 s또는 hr로 바꾸니까 항상 단위를 잘 보도록 합시다.

 

 

생각보다 어려운 문제입니다.

 

연속조건과 비회전류의 조건을 대충 전공서적만 보면 

 

읽고 넘어가기 쉬운데 

 

정확히 개념을 알려주는 문제이므로 여러번 푸는게 좋다.

 

이런문제는 기사에서도 가끔나오나 국가직인가 지방직인가 서울직에서 비슷한 문제가

 

몇번 나왔으니 꼭 짚고 넘어가도록 하자.

 

 

이건 진짜 어려운 문제이다.

 

그림을 안그리면 어떻게 풀어야하는지 모를 뿐더러

 

식으로만 풀면 무조건 제시간내에 풀지 못한다

 

그림을 보고 이해해야한다 왜 높이차가 3.2m인지 파악해야한다

 

수면의 높이가 3m이고 속도수두가 0.2m인걸 파악하면

 

300m~0m까지 마찰손실수두는 선형으로 변하기에

 

100m지점에는 압력수두가 2m고 마찰손실수두는 1m가 된다.

 

 

눈만뜨고 있다면 절대 틀릴수 없는 문제이나

 

동수반경이 A/P인것은 알고가자

 

P는 윤변인데 물이 접촉하는 면이다. 

 

만약 개수로가 아니고 관수로라면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728x90

댓글()

2015 국가직7급 수리수문학 1~4번 풀이

728x90

1. 부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부력은 유체 내 고체의 위, 아래 면에 작용하는 압력 차로 발생한다.

잠긴 부분의 형상과 체적은 같지만 밀도가 다른 나무와 쇠의 부력은 서로 다르다.

부력의 크기는 유체 내 잠긴 물체의 체적에 해당하는 유체의 무게이다.

물체의 경심이 중심보다 위에 있으면 안정적이다.

<해설>

부력은 매 시험마다 꼭 한문제는 나온다 그렇기에 틀리면 안되는 문제이다.

부력문제는 웬만하면 어렵지 않으니 기사 문제도 찾아서 풀어보도록 하자.

 

상당히 어려운 문제이다.

그림을 그리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이니 그림을 그려서 이해를 하자.

그림을 그린후 식으로 나타내자.

 

300x250

 

비회전류의 개념에 대해 알아야하는데 

일반적으로 수리학책에서는 비회전류를 많이 다루지는 않는다.

유체역학에서는 자주 다루는 편인데

개념을 찾아서 공부하도록 하자.

NRCS방법이다.

꼭 2년 or 1년에 한번은 꼭나오는 문제이니 어떻게 푸는지 알아둘 필요가 있다.

개념도 한번 짚어야한다.

 

728x90

댓글()

2016 국가직7급 수리수문학 17~20번 풀이

728x90

 

그냥 해설 읽으면 이해간다.

 

 

난이도 중이상 문제

하지만 베르누이 틈나면 쓴애들은 금방푸는 문제

 

 

이거 틀리는 흑우읍제???

있을거 같긴한데 이정도는 사실 난이도 중~상 이다.

하지만 자주 풀다보면 손이 자연스레 움직여진다.

 

 

진짜 이거틀리면 반성해라

 

수고~

728x90

댓글()

2016 국가직7급 수리수문학 13~16번 풀이

728x90

여기서 생각해볼 문제는 정지판인 경우와

 

날이 돌아가는 경우를 나누어 생각 해볼 필요가 있음.

 

맞는말이고

 

실제로 바늘도 면적이 좁게하면 가라앉지만 

 

넓게 하면 물에 둥둥 떠있다.

 

파이지수를 시간강우량 다더하고 직접유출고 빼서 

엔빵하면 바로 망하는 문제.

그래프를 그려보도록 하자

 

728x90

댓글()

2016 국가직7급 수리수문학 9~12번 풀이

728x90

 

 

어려운 문제입니다.

기사에서 가끔 나오긴하지만

그림을 안그리면 도저히 풀리지가 않습니다.

그림을 보고 이해하고 풀도록 합시다.

식을 쓰는순간 당신은 틀렸습니다.

 

그냥 그림을 보고 기하학적으로 이해하면

 

당연히 바로 저답이 나와야합니다.

 

이표는 눈감고 쓸수있을정도로 외워두세요.

 

빈출되는 주제이기도 하고 중요합니다.

 

헷갈릴수도 있지만

 

어렵지는 않습니다. 생각해보면 됩니다.

 

역적은 힘방정식이고 베르누이는 어디든 안빠지고

 

역적방정식쓰려면 연속방정식 필요하자너?

728x90

댓글()

2016 국가직7급 수리수문학 5~8번 풀이

728x90

문제를 풀때 저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다면 식으로 연동되기가 힘들다.

저렇게 글로 된것은 바로 그림을 그리는 습관을 가지자.

수리수문학은 그림만 상상되면 식이 어렵지 않기때문에 금방푼다.

 

 

마찬가지다 피압대수층이라고 하면 막 우물그려지면서 이리저리 생각이 많아지는데

양치기해서 어떤 식을 써야겠다가 아니라 

그림을 그려서 이해하는 습관을 가지자.

 

아주쉽다.

 

 

토질역학인 부분이 있다.

토질역학과 수리수문학을 따로 공부한다고 생각하면 공부양이 끝도없이 많아진다.

수리수문학과 토질역학은 그냥 흙과 물 둘중 어떤것을 입자로 잡느냐의 차이이지

큰 차이는 없다.

 

728x90

댓글()

2016 국가직7급 수리수문학 1~4번 풀이

728x90

이 표는 외우도록합시다

저 표를 외우면 아주 귀신같이 문제가 잘풀리니 외워라

그리고 레이놀즈수를 관수로와 개수로는 구분해야 하고

개수로에서 R은 뭐더라... A/P였던걸로 기억함

 

도달시간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알아둘 필요가 있고 

합리식을 단지 CIA로만 알아서는 안될뿐더러 전공책 한번 살펴보는게 좋다.

 

아주 자세히 설명해놨다.

 

 

기하학적으로 이해만하면 얼마나 쉬운 문제인가

hL이 = 저 식이 되는지 이해가 안된다면 개념을 새로잡아야한다.

 

728x90

댓글()

2017 국가직7급 수리수문학 17~20번 풀이

728x90

어렵지 않아요 도형놀이 

식으로 푸는것이 맞지만 그전에 기하학적으로 수압이 어떻게 걸리는지 이해하는게 좋음

 

 

최적수리 단면이 B=2h라는 것을 외우고

삼각형, 사다리꼴의 최적수리 단면도 외워두어야 합니다.

제가 알려주긴 귀찮군요. 검색해보세요.

 

그림은 어려워보여도 아주 어렵지 않아요

V=ki알죠? 그리고 n은 공극률이죠

수리수문학과 토질역학은 그냥 흙입자냐 물입자냐 의 차이입니다.

 

상사법칙입니다

V랑 T가 L^1/2에 비례하는 것만 외워두면 어렵지않아요.

상사법칙하니

저희 상사님이 생각나는군요

저를 많이 괴롭혔어요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