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질 및 기초]흙의 침하

기술사|2021. 10. 8. 23:48
728x90

□ 정의

지반위의 하중에 의해 지반이 가라앉는 현상

□ 종류

 ○ 즉시침하
   - 외부하중이 지반에 가해지는 동시에 발생하는 침하

모래(Sand) 점토(Clay)
모래의 경우는 투수계수가 아주 크므로 하중이 가해짐과 동시에 물이 배수가 되기 때문에 지하수가 있던 없던 즉시 침하가 발생하며  전체침하량과 즉시침하량이 같은 값을 가진다. 만약 점토지반에 지하수가 없다면 즉시침하가 발생하고 전체 침하량과 같을 것이다.
만약 점토지반이 포화상태라면 점토는 투수계수가 매우 작기 때문에 물이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며 흙이 찌그러지게 된다.
ε(z)=-2μ ε(x) 가 성립하므로
포아송비는 일반적으로 0.5가 된다.(비배수 조건시)

 ○ 압밀침하
   - 포화된 흙에 하중이 가해질때 과잉간극수압이 발생하게 되는데 과잉간극수압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산이 되어 천천히 흙에 하중이 가해지고 이로인해 침하가 발생하는 것

1단계(초기)  초기에 입자는 유효상재압력만 받게됨
2단계(하중재하 직후)  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과잉간극수압이 발생하게 된다. 
3단계(압밀 후) 과잉간극수압이 소산되어 흙에 유효응력이 증가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