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개발기술사] 기본홍수량과 계획홍수량

기술사|2024. 4. 23. 20:38
728x90

1. 기본홍수량

1.1정의

하천이나 유역에서 인위적 유역 개발이나 유량 조절 시스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자연 상태에서 발생하는 홍수량을 의미

 

1.2 산정방법

 홍수빈도 분석을 사용하여  장기간에 걸친 수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일정 기간 내에 발생할 수 있는 최대 홍수량을 예측

특정 연도 빈도(예: 100년 빈도 홍수)의 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극치 이론에 기반한 통계 모델이 사

 

 

2. 계획홍수량

2.1정의

하천 유역 개발, 홍수 방어 계획, 이수 계획, 내수 배제 계획 등에 따라 조절되는 홍수량. 기본홍수량을 기반으로 하여 인위적으로 조정되며, 하천의 효율적 관리 및 홍수 피해 최소화를 목표

 

2.2 산정방법

1. 유역 모델링: 유역의 지형학적, 기상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유역 모델을 개발합니다. 이는 강우-유출 모델을 생성하는 데 사용

2. 강우 시나리오 생성: 다양한 강우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예상되는 강우 패턴과 강도를 모델링합니다.

3. 유출 분석: 생성된 강우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유출량을 계산합니다. 이 과정에서 하천의 유량 조절 능력과 하천 시설의 영향을 평가합니다.

4. 조절 댐과 수문 운영 시뮬레이션: 조절 댐과 수문의 운영을 시뮬레이션하여 최적의 운영 계획을 수립합니다.

5. 위험 분석 및 조정: 계획홍수량을 조정하여 하천의 안전성을 최대화하고, 하류 지역의 홍수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3. 결론

기본홍수량과 계획홍수량을 정확하게 산정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하천의 지속 가능한 개발 및 홍수 위험 감소에 기여하며 두 수치는 하천 설계, 유역 개발, 그리고 재난 관리 계획의 기초로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필요로 하며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하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

 

728x90

댓글()

2015 국가직7급 수리수문학 17~20번 풀이

728x90

 

아주 쉽고 꿀 문제입니다.

 

이런문제를 틀리면 안되죠

 

그리고 토질역학에서도 나오는 문제인데 

 

Nd와 Nf 가

 

Drop potential number

 

Flow number라는 것을 알고 있으면 쉽습니다.

 

300x250

 

 

머리속에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다면 그림을 그려서 풀고

 

문제를 많이 풀어본사람이면 바로 전단응력 공식을 이용해주자

 

 

차원해석 문제는 참 헷갈리기도하고 아직도 나에게는 가끔 어려운데

 

전공책을 한번 뒤져보도록하자..필자도 공부해서 

 

좀더 자세히 알려주겠다.

 

 

그림부터보고 바로 풀려고 하면 무조건 틀리는 문제

 

괄호를 보면 전수압 작용점은 모두 수문의 중심이라고 가정했기에

 

수압을 구한후 수면으로부터 전수압 작용점까지를 곱해주면 아주 쉽게 나온다.

 

728x90

댓글()

2015 국가직7급 수리수문학 13~16번 풀이

728x90

 

원래 Q=CIA라는것을 알것이다.

 

왜 밑에 3.6으로 나누어줄까? 

 

hr을 sec로 바꾸기 위한것인데.

 

솔직히 I도 다 m로 바꾸고 hr도 sec로 바꾸어서 풀면

 

3.6으로 나누어줄 필요는 없다.

 

하지만 가끔 낚을수도 있으니..항상 조심하자

 

mm/hr을 mm/sec라던가..

 

 

어려운 문제인 편인데..DAD곡선을

 

전공책에서 찾아서 이해해볼 필요가 있다.

 

여기서 자세히 설명은 하지 않겠지만 

 

1번 선지가 응~ 그렇지 라는 정도로만 넘어간다.

 

산악의 영향을 고려가능한것은 등우선법이라는 것을 알자.

 

 

1차 판정과 2차 판정을 하는 방법만 알면 쉽게 푸는 문젱이니

 

한번만 정확히 풀면 다른문제를 풀기 쉬우니 확실히 해놓자.

 

 

 

맨날 프루이드수를 V/root(gh)로 외워서 유량줄때 헷갈리지말고...

 

왜 식이 저렇게 전개되는지 이해하도록하자

 

저게 이해가안가면 그냥 기사문제를 풀도록하자..

 

728x90

댓글()

2015 국가직7급 수리수문학 9~12번 풀이

카테고리 없음|2021. 8. 5. 21:58
728x90

정말 2년~3년 간격마다 나오는 문제 같은데

 

가끔 어렵게 나오면 도수 전의 수심으로 도수 후의 수심을 구해서 

 

에너지 손실을 구합니다.

 

일단 자주나오는 식이기에 그냥 외우고 있어야합니다. 

 

진짜 안외우면 안됩니다.

 

그리고 심화를 시킨다면 저것이 유도되는 과정을 한번 봐놓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프를 그려야 하는 문제입니다. 가끔 표밑에 숫자 써서 더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게 푸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지 한번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11. 유속계를 이용하여 10m 수심의 하천에서 유속을 측정하였다. 수면 아래 2m, 4m, 6m, 8m 지점에서 측정된 유속이 각각 3m/s, 4m/s, 2m/s, 1m/s일 때, 3점법으로 구한 평균유속[m/s]?

2.0 2.3

2.5 3.0

 

 

 

무조건 외워야하는 것이고

 

3점법이 자주 나오기는 하나 표면법, 5점법, 2점법, 1점법은 외워두시는게 좋습니다.

 

가끔가다 서울시나 국가직 어려운 문제에서 충분히 물어볼 수 있는 부분이고

 

그리고 식을 보다보면 규칙이 있습니다. 잘 학습해 보십시요.

 

 

 

12. 하천의 수위계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수면과 에너지선과의 간격이 크다면, 그 원인은 완만한 하상경사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하천구간 상류와 하류 지점 간에 에너지경사가 급격하게 변화했다면, 두 지점 사이에 계산 단면을 추가하여 다시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류흐름(subcritical flow)의 경우, 하천의 하류부터 수위 계산을 시작하여 상류방향으로 진행한다.

직접축차법은 표준축차법에 비하여 계산은 간단하지만 특정 지점의 수위를 직접 계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하천 수위 계산법

1.직접 축차 계산법

-기지점 수위로부터 등간격 분할

2.표준 축차 계산법(일반식)

-지배단면으부터 계산

-시행착오 법에 의해 일반화된 수면곡선식 결정

수면과 에너지선과의 간격이 크다면, 그 원인은 급격한 하상경사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선지 하나하나가 중요한 것입니다.

 

수면과 에너지선을 구분해야하고 에너지선과 수면의 차이가 무엇인지 확인해 보아야합니다.

 

하천의 수위계산의 경우에는 대표적으로 두가지 방법 직접 축차, 표준 축차가 있는데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728x90

댓글()

2015 국가직7급 수리수문학 5~8번 풀이

728x90

Q=kia만 알면 아주 쉽게푸는 문제입니다.

 

그러나 국가직에서는 잘 안낚지만 가끔

 

day를 s또는 hr로 바꾸니까 항상 단위를 잘 보도록 합시다.

 

 

생각보다 어려운 문제입니다.

 

연속조건과 비회전류의 조건을 대충 전공서적만 보면 

 

읽고 넘어가기 쉬운데 

 

정확히 개념을 알려주는 문제이므로 여러번 푸는게 좋다.

 

이런문제는 기사에서도 가끔나오나 국가직인가 지방직인가 서울직에서 비슷한 문제가

 

몇번 나왔으니 꼭 짚고 넘어가도록 하자.

 

 

이건 진짜 어려운 문제이다.

 

그림을 안그리면 어떻게 풀어야하는지 모를 뿐더러

 

식으로만 풀면 무조건 제시간내에 풀지 못한다

 

그림을 보고 이해해야한다 왜 높이차가 3.2m인지 파악해야한다

 

수면의 높이가 3m이고 속도수두가 0.2m인걸 파악하면

 

300m~0m까지 마찰손실수두는 선형으로 변하기에

 

100m지점에는 압력수두가 2m고 마찰손실수두는 1m가 된다.

 

 

눈만뜨고 있다면 절대 틀릴수 없는 문제이나

 

동수반경이 A/P인것은 알고가자

 

P는 윤변인데 물이 접촉하는 면이다. 

 

만약 개수로가 아니고 관수로라면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