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사/개념] 수요예측기법

기사/조경기사|2022. 2. 23. 22:10
728x90

■ 수요예측기법
ㅇ 정성적 기법 : 예측 수행자의 주관적 견해나 경험에 의한 판단에 의존해서 미래를 예측하는 기법
   - 종류 : 델파이분석, 전문가 판단모형, 시나리오 설정법

ㅇ 정량적 예측 : 과거의 객관적 자료를 처리하여 미래를 예측하는 기법
   - 시계열 분석 : 단순평균증가율법, 추세선분석법, 평활법(이동평균,지수평활법), 분해법(가번분해법,승법분해법)
   - 인과모형 : 단순회귀모형, 다중회귀모형
   - 공간상호작용 모형 : 중력모형(여행발생모형, 여행배분모형)

 

728x90

댓글()

조경기사 필기 빈출문제 정리 5탄

기사/조경기사|2022. 2. 7. 22:22
728x90

조경사

일본의 헤이안, 가마쿠라 시대 때 조영된 대상과 연못의 명칭 연결이 틀린 것은?

   대각사-대택지 모월사-대천지

    금각사-황금지 평등원-()자지

 

<해설>

서방사-황금지

서방사


근대 조경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옴스테드(F.L.Olmsted)의 작품 및 프로젝트가 아닌 것은?

   Greensward Plan  Birkenhead Park

   Back Bay Fens Plan Wold's Columbian Exposition

 

<해설>

버켄헤드 공원은 조샙 팩스턴이 설계 후 시민들이 힘을 합쳐 세운 최초의 공원이다.


다음 중 세부적 기교, 강렬한 대비효과, 호화로움 그리고 역동성 등의 특성이 나타난 조경 양식은?

   로코코(rococo) 조경

    바로크(baroque) 조경

   낭만주의(romanticism) 조경

   노단건축식(terrace-dominant architectural style) 조경

 

<해설>

바로크라는 뜻 자체가 균형이 잡히지 않았다는 뜻을 지니므로 대충 예상해보면 저게 된다

 

영국 르네상스 시대의 튜더, 스튜어트 왕조 때 정형식 정원의 특징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축산(mounding)

    노트(knot)의 도입

     (mall)과 대로(grand anenue)

    정방형 테라스의 설치

 
 
 

<해설>

ㅇ 주 도로인 곧은 길 : 곧게 뻗은 도로
ㅇ 축산 : 인공 언덕으로 감시탑의 역할도 함
ㅇ 볼링 그린 : 경기장, 훈련장
ㅇ 약초원 


일본 다정(茶庭)양식의 전형적 특징이 아닌 것은?

    심신을 정화하기 위해 준거(蹲踞:쓰꾸바이)를 배치하였다.

    조명과 장식의 목적으로 석등(石燈)을 설치하였다.

     연못과 섬을 조성하여 다실(茶室)과 연결하였다.

    다실에 이르는 통로인 노지(露地)는 다실과 일체된 공간

 

 

<해설>

길 주위 좁은 공간에 꾸며 대자연을 연상시킴


다음 중 사찰에 13금당식 유형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신라 분황사     신라 황룡사지

    고구려 청암리 절터(금강사  백제 익산 미륵사지

 

 

조경계획

조경가의 역할이 주어진 장소의 단순한 미화 작업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설계, 지구의 파수꾼이라는 측면의 영역으로 확대한 생태적 계획방법을 수립한 사람은?

    에크보(G.Eckbo) 헬프린(L.Halprin)

     맥하그(I.McHarg) 옴스테드(F.Olmsted)


도시공원 및 독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구분하는 녹지의 유형이 아닌 것은?

    경관녹지  생산녹지

    완충녹지 연결녹지

 

 

<해설>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35조(녹지의 세분) 녹지는 그 기능에 따라 다음 각 호와 같이 세분한다.

1. 완충녹지: 대기오염, 소음, 진동, 악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공해와 각종 사고나 자연재해,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재해 등의 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녹지

2. 경관녹지: 도시의 자연적 환경을 보전하거나 이를 개선하고 이미 자연이 훼손된 지역을 복원ㆍ개선함으로써 도시경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녹지

3. 연결녹지: 도시 안의 공원, 하천, 산지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도시민에게 산책공간의 역할을 하는 등 여가ㆍ휴식을 제공하는 선형(線型)의 녹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시행규칙상 면적 12,000m2의 도심 공지에 체육공원을 조성하여 한다. 최대 공원시설면적에 설치할 수 있는 운동시설 최소면적은 얼마인가?

    7,200m² 6,000m²

    4,300m²  3,600m²

 

 

<해설>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4] <개정 2021. 12. 31.>


도시공원 안 공원시설 부지면적(11조 관련)

공원구분 공원면적 공원시설
부지면적
1. 생활권 공원

. 소공원 전부 해당 100분의 20이하
. 어린이공원 전부 해당 100분의 60이하
. 근린공원 (1) 3만제곱미터 미만 100분의 40이하

(2) 3만제곱미터 이상 10만제곱미터 미만 100분의 40이하


(3) 10만제곱미터 이상 100분의 40이하



2. 주제공원

. 역사공원 전부 해당 제한 없음
. 문화공원 전부 해당 제한 없음
. 수변공원 전부 해당 100분의 40이하
. 묘지공원 전부 해당 100분의 20이상
마. 체육공원 (1) 3만제곱미터 미만 100분의 50이하

(2) 3만제곱미터 이상
10만제곱미터 미만
100분의 50이하


(3) 10만제곱미터 이상 100분의 50이하
. 도시농업공원 전부 해당 100분의 40 이하
. 법 제15조제1항제3호아목에 따른 공원 전부 해당



제한 없음



12000 x 50/100 = 6000m²

제11조(공원시설의 설치면적 등) ①도시공원 안에 설치할 수 있는 공원시설의 부지면적은 다음의 각 호의 기준에 의한다.

1. 하나의 도시공원 안에 설치할 수 있는 공원시설 부지면적의 합계는 해당도시공원의 면적에 대하여 별표 4의 비율에 적합할 것

2. 체육공원에 설치되는 운동시설은 공원시설 부지면적의 60퍼센트 이상일 것

6000 * 0.6 = 3600m²


고속도로 조경 시 명암순응식재가 가장 필요한 곳은?

    휴게소 인터체인지

    교량  터널 입구

 

 

<해설>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자 터널입구에서 명암을 잘구분해야 사고가 안나지

 

 

조경설계

포장설계를 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바람직한 설계 기준에 해당되는 것은?

    시선유도에는 넓은 스케일의 포장패턴을 사용한다.

    포장의 변화를 이용하여 도로의 속도감을 표현한다.

    편의성, 내구성, 경제성, 재생성을 기준으로 한다.

     교통하중, 동결심도, 토질 등의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해설>

도로설계하는데 교통, 동결심도 이런게 필요하지 않겠니?


다음 입체도를 제3각법으로 나타낸 3면도 중 옳게 투상한 것은?

 


흰색 배경의 회색보다 검음색 배경의 회색이 더 밝게 보이는 것은?

    보색대비  명도대비

    색상대비 채도대비


조경에서 배수시설 설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조경설계기준을 적용한다.)

    배수 계통은 직각식, 차집식, 선형식, 방사식, 집중식 등이 있다.

     배수의 계통 및 방식은 최소 우수배수량을 합류식으로 산출하여 정한다.

    개거는 토사의 침전을 줄이기 위해서 배수 기울기를 1/300 이상으로 한다.

    하수도에 방류하는 경우에는 빗물과 오수를 동일 관거로 배제하는 합류식과 분리하는 분류식으로 나눈다.

 

<해설>
배수량을 설정하려면 최소로 하면 되겠냐,, 
최대로 일단 설정해야 재현연도가 큰 홍수 등을 대비를 하지


축척이 1/500인 도면에서 길이가 3cm되는 선은 실제로는 얼마가 되는가?

    3cm÷500 500÷3cm

     500×3cm 1÷(500×3cm)

 
 

 

728x90

댓글()

[조경기술사] 공정표

기술사|2022. 2. 6. 00:31
728x90

Ⅰ. 정의 

 1. 공정표란 공사의 계획과 작업 과정의 내용을 정리, 도표화 한 것이며 착공에서 준공까지 공정을 파악하는데 쓰이며, 작업의 능률을 높이고 비용을 절약하는데 기여를 한다.

 

Ⅱ. 종류

  1. Gantt식 공정표
    - 횡선식 공정표 : 각 공종별 공사 종축에 순서대로 나열 후 횡축에는 공사 예정일을 횡선으로 표시함
    - 사선식 공정표 : 횡선식 같이 작업의  관련성은 없으나 세로축에 전체 시공량을 표시하고 가로축에 공사기간을 기입하여 예정과 실적 파악에 용이하다.

■장점
1) 공정표 표시가 용이
2) 공정파악이 용이
3) 수정 편리
■단점
1) 작업의 유기적 관계가 명료하지 않아 공정 전체의 메커니즘 파악에 불리
2) 주공정선을 파악하기 힘들다
3) 작업간의 관련성을 해석하기 힘들다

출처 : civilatwork.blogspot.com

  2. Network식 공정표
    - PERT : 신규 또는 경험이 없는 사업에 적용하며 공기단축이 목표이다. 일정계산이 복잡하다.
    - CPM : 반복 또는 경험이 있는 사업으로 공사비절감이 목적이며 1점 추정식을 쓴다.
    - PDM : CPM기법을 보완하여 공정표를 더 쉽게 작성할 수 있다.
    - Overlapping : PDM기법을 보완 및 응용하여 중복관계를 쉽게 표기하여 공사 프로세스를 현실감 있게 표현 함.

■장점
1) Critical Path가 있어서 공사의 특성 및 중점 관리가 용이함
2) 현장 경험이 작은 사람도 공사 프로세스를 파악이 용이하다
3) 착공과 준공일이 명확하고 기타 일정을 수치로 파악 가능함
■단점
1) 기술자의 능력치가 높지 않을 경우 작성이 어렵다
2) 작성 시간이 오래 걸린다.

출처 : cemsolutions.org

728x90

댓글()

조경기사 필기 빈출문제 정리 4탄

기사/조경기사|2022. 2. 5. 20:45
728x90

 

조경사

 

다음 중 중세 수도원의 회랑식 중정(Cloister Garde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부분으로 구획되어진 중정이 있다.

   분수는 중정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페리스틸리움(peristylium)의 구조와 동일하게 흉벽을 두지 않았다.

   수도원 내의 다른 건물들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해설>

흉벽을 두어 통제했음


스페인의 알함브라 궁전의 4개 중정 가운데 이슬람 양식은 부분적으로 보이면서도 기독교적인 색채가 강하게 가미되어 있는 중정은?

   알베르카 중정(Patio de la Alberca), 사자의 중정(Patio de los Leons)

   사자의 중정(Patio de los Leons), 다라하 중정(Patio de Leons)

    린다라야 중정(Lindaraja), 창격자 중정(Patio de Reja)

   창격자 중정(Patio de Reja), 알베르카 증정(Patio de la Alberca)

 

<해설>

린다라야의 중정

-기독교 색채와 여성적 분위기, 이슬람 양식
-여러 개의 부속된 분수 설치


담양 소쇄원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소쇄원 48영시에는 목본 16, 초본 5종의 식물이 나타난다.

     광풍, 제월의 당호는 이덕유의 평천장고사에서 인용한 것이다.

    조담에서 떨어지는 물은 홈통을 통해 방지로 유입된다.

    매대라고 불리는 화계는 자연석을 2단으로 쌓아 만든 구조물이다.

 
담양 소쇄원

다음 중 프랑스의 영향을 받은 영국 내 조경작품이 아닌 것은?

    멜버른 홀(Melbourne Hall)

    브라함 파크(Bramham Paek)

    햄프턴 코트(Hamptom Court)

     버컨헤드 공원(Birkenhead Park)

버컨헤드 공원

 

<해설>

-조셉 팩스턴이 설계

-시민의 힘으로 설립된 최초의 공원


조선시대에 조영된 별서정원 작정자의 연결이 틀린 것은?

    옥호정-김조순 남간정사-송시열

    소쇄원-양산보  명옥헌-정영방

 

 

<해설>

명옥헌 - 오명중, 서식지원 -정영방

 

조경계획

용적률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건축물의 일조, 채광, 통풍의 확보와 관련된 개념이다.

    화재시 연소의 차단, 소화 작업, 피난처 역할을 확보 할 수 있게 한다.

    식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이다.

     입체적인 건축 밀도의 개념이다.

 

<해설>


공장조경계획의 기본원칙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환경개선 효과가 큰 수종을 선정한다.

     공장의 차폐를 위한 부분적 식재에 중점을 둔다.

    임해공장의 경우 내조성을, 공장녹화용수로는 내연성을 고려한다.

    공장의 성격과 입지적 특성에 따라 개성적인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해설>

식재보다는 경관에 더 중점을 둔다


미적 반응(aesthetic response) 과정이 올바른 것은?

    자극자극선택자극탐구반응자극해석

    자극자극선택자극탐구자극해석반응

    자극자극탐구자극선택반응자극해석

     자극자극탐구자극선택자극해석반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레크리에이션 계획의 접근 방법은?

  자원접근법 활동접근법

   경제접근법  행태접근법


환경영향평가법 시행령에서 규정한 전략환경영향평가서의 내용으로 틀린 것은?

     대상사업이 실시되는 지역의 경관 및 방재가 포함되어야 한다.

    전략환경영향평가 항목 등의 결정내용 및 조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개발기본계획의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 대한 주민, 관계 행정기관의 의견 및 이에 대한 반영 여부가 포함되어야 한다.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구체적인 내용과 작성방법 등에 관하여 필요한 세부사항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를 거쳐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해설>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해 자연생태ㆍ자연경관을 특별히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을 생태ㆍ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다음 중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자연경관의 훼손이 심각하게 우려되는 지역

    다양한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지역

    지형 또는 지질이 특이하여 학술적 연구 또는 자연경관의 유지를 위하여 보전이 필요한 지역

    자연 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보전 및 학술적 연구 가치가 큰 지역

 

<해설>

제12조(생태ㆍ경관보전지역) ①환경부장관은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으로서 자연생태ㆍ자연경관을 특별히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을 생태ㆍ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1. 자연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보전 및 학술적연구가치가 큰 지역

2. 지형 또는 지질이 특이하여 학술적 연구 또는 자연경관의 유지를 위하여 보전이 필요한 지역

3. 다양한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생태계의 표본지역

4. 그 밖에 하천ㆍ산간계곡 등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특별히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

②환경부장관은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ㆍ관리를 위하여 생태적 특성, 자연경관 및 지형여건 등을 고려하여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지정ㆍ관리할 수 있다.

1. 생태ㆍ경관핵심보전구역(이하 “핵심구역”이라 한다) :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훼손방지를 위하여 특별한 보호가 필요하거나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특별히 보호하고자 하는 지역

2. 생태ㆍ경관완충보전구역(이하 “완충구역”이라 한다) : 핵심구역의 연접지역으로서 핵심구역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

3. 생태ㆍ경관전이(轉移)보전구역(이하 “전이구역”이라 한다) : 핵심구역 또는 완충구역에 둘러싸인 취락지역으로서 지속가능한 보전과 이용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③환경부장관은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이 군사목적 또는 천재ㆍ지변 그 밖의 사유로 인하여 제1항에 따른 생태ㆍ경관보전지역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거나 보전할 필요가 없게 된 경우에는 그 지역을 해제ㆍ변경할 수 있다.


우리나라 스키장 계획 관련 설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남서향 사면에 계획

    정상부는 급경사, 하부는 완경사로 계획

    관련 시설을 포함하여 최소 10ha 이상의 면적이 바람직함

    동계기간에 강설량이 많고, 적설기의 우천일수가 적은 곳

 
 
 

<해설>

북동향임


각 각의 운동시설 계획 시 고려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농구코트의 장축 방위는 남-북 축을 기준으로 하고, 가까이에 건축물이 있는 경우에는 사이드라인을 건축물과 직각 혹은 평행하게 배치 계획한다.

    배구장의 코트는 장축을 동-서로 설치하고, 주풍 방향에 수목을 설치하지 않고, 환기를 원활하게 계획한다.

    야구장의 방위는 내ㆍ외야수의 플레이를 고려하여, 홈 플레이트를 서쪽과 남동쪽 사이에 자리 잡게 계획한다.

    테니스 코트 장축의 방위는 정동-서를 기준으로 남서 5~15° 편차 내의 범위로 하며, 가능하면 콤트의 장축 방향과 주 풍향의 방향이 다르도록 계획한다.

 

<해설>

배구장 - 남북
야구장 - 동쪽과 북서쪽
테니스장 - 정남-북

 

 

 

조경설계

먼셀의 색입체를 수평으로 잘랐을 때 나타나는 특징을 표현한 용어는?

    등색상면  등명도면

    등채도면 등대비면

 

<해설>

수직 - 등색상면
수평 - 등명도면


평행주차형식의 경우 일반형 주차구획 규격의 기준은? (, 규격은 너비×길이 순서임)

    1.7미터 이상×4.5미터 이상

    2.0미터 이상×3.6미터 이상

    2.5미터 이상×5.0미터 이상

     2.0미터 이상×6.0미터 이상

 

<해설>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3조

300x250

시각적 복잡성과 시각적 선호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일반적으로 중간 정도의 복잡성에 대한 시각적 선호도가 가장 높다.

    복잡성이 아주 낮은 경우에 시각적 선호도가 낮아진다.

     시각적 복잡성이 아주 높은 경우에 시각적 선호도가 가장 높다.

    시장은 학교보다 훨씬 높은 정도의 복잡성이 요구된다.

 
 

<해설>

시각적 복잡성이 적절할 경우 선호도가 가장 높음

 

 


다음 그림은 제3각법으로 제도한 것이다. 이 물체의 등각 투상도로 알맞은 것은?.

 

 

 

조경식재

생태적 천이(ecological success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내적공생 정도는 성숙단계에 가까울수록 발달된다.

    생활 사이클은 성숙단계에 가까울수록 길고 복잡하다.

     생물과 환경과의 영양물 교환 속도는 성숙단계에 가까울수록 빨라진다.

    영양물질의 보존은 성숙단계에 가까울수록 충분하게 된다.

 

<해설>

※생태적 천이

- 성숙단계로 갈수록 순군집생산량이 낮다
- 성숙단계로 갈수록 생물체의 크기가 크다
- 성숙단계로 갈수록 생활사이클이 길고 복잡함
- 성숙단계로 갈수록 생태적 지위의 특수화가 넓어짐


시기적으로 꽃이 가장 먼저 피는 수목은?

     풍년화(Hamamelis japonica)

    무궁화(Hibiscus syriacus)

    모란(Paeonia suffruticosa)

    나무수국(Hydrangea paniculata)

 

<해설>

 - 풍년화(2월)
 - 무궁화, 나무수국(7~8월)
 - 모란(5월)


화서(花序, inflorescence) 종류 중 무한화서(총상화서)”에 해당하는 것은?

    수수꽃다리(Syringa oblata)

     때죽나무(Styrax japonicus)

    목련(Magnolia kobus)

    작살나무(Callicarpa japonica)

<해설>

수수꽃다리(원추화서)
목련, 작살나무(유한화서)


생물종 다양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생물종 다양성의 이론은 열대지방에서만 적용되는 것이므로 온대지방에서는 문제가 없음

     일반적으로 생태적 천이단계에서 극상림은 생물종 다양성이 발전단계보다 낮아짐

    도시지역에서는 인위적으로 생물종 다양성을 높일 수 없음

    엔트로피가 증가되면 생물종 다양상은 반드시 증가함

 

 

조경시공구조학

다음 설명하는 배수 계통의 종류는?

   직각식(直角式) 차집식(遮潗式)

    선형식(扇形式)  방사식(放射式)

 

<해설>

-직각식 : 하천이 도시의 중심을 지나거나 해안에 따라 발단된 도시에 하수처리장이 없는 경우 설치함
-차집식 : 직각식을 보완한 방법이고, 오염을 막기 위해 하천, 호수, 바다 등에 차집거를 설치하여 방류하는 방식
-선형식(편형식) : 지형이 한쪽방향으로 경사되어 있을 때 나무가지처럼 배치하여서 한곳으로 모아 배치하는 방식


축척 1:1500 지도상의 면적을 잘못하여 축척 1:1000으로 측정하였더니 10000m2 나왔다면 실제의 면적은?

    15,000m² 18,700m²

     22,500m² 24,300m²

 

<해설>

실제면적 = 도상면적 X 축척²

10000 = 도상면적 X 1000²

실제면적  = 0.01 X 1500² = 22500m²


합성수지 중 건축물의 천장재, 블라인드 등을 만드는 열가소성수지는?

    요소수지 실리콘수지

    알키드수지  폴리스티렌수지


시방서 작성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시공에 대한 주의사항

     재료의 수량 및 가격

    시공에 필요한 각종 설비

    재료 및 시공에 관한 검사


평판 측량에서 평판을 세울 때 발생하는 오차 중 다른 오차에 비하여 그 영향이 매우 큰 오차는?

    거리 오차 기울기 오차

     방향 맞추기 오차 중심 맞추기 오차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표는 결합점(Event, node)이라 한다.

    작업(activity)은 화살표로 표시하고 화살표에는 시종으로 동그라미를 표시한다.

    동일 네트워크에 있어서 동일 번호가 2개 이상 있어서는 아니 된다.

     화살표의 윗부분에 소요시간을 밑 부분에 작업명을 표기한다.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의 유형과 그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고정하중 : 구조물과 같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작용하는 하중이며, 구조체나 벽 등의 체적에 재료의 단위용적 중량을 곱하여 구한다.

    집중하중 : 하중이 구조물에 얹혀있는 면적이 아주 좁아 한 점으로 생각되는 경우의 하중이다.

    눈하중 : 구조물에 쌓이는 눈의 중량을 말하며, 지붕의 경사각이 30°를 넘는 경우 눈하중을 경감할 수 있다.

     풍하중 : 구조물에 재난을 주는 빈도가 높은 하중이며, 특히 내륙지방에서는 20%를 증가시켜 적용한다.

 
 
조경관리론

멀칭(mulching)의 효과가 아닌 것은?

    토양수분이 유지된다.

    토양의 비옥도를 증진시킨다.

     염분농도를 증진시킨다.

    점토질 토양의 경우 갈라짐을 방지한다.


종 운동경기장, 골프장의 Green, Tee Fairway 등과 같이 집중적인 재배를 요하는 잔디 초지는 답압의 내구력과 피해로부터 빨리 회복되는 능력 등이 매우 중요하다. 다음 중 잔디 초지류의 내구성에 대한 저항력이 가장 강한 것은?

    Perennial ryegrass Creeping bentgrass

    Kentucky bluegrass  Tall fescue

 

아스팔트 콘크리트 도로 포장의 균열 파손을 보수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표면처리 공법 덧씌우기 공법

     모르타르 주입공법 패칭공법


소나무좀은 유충과 성충이 모두 소나무에 피해를 가하는데, 신성충이 주로 가해하는 곳은?

    소나무 잎 소나무 뿌리

    수간 밑부분  소나무 새가지

 
728x90

댓글()

[조경기사/빈출개념] 전략환경영향평가서의 작성

기사/조경기사|2022. 2. 4. 14:52
728x90

■ 환경영향평가법의 목적

 ◎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 또는 사업을 수립ㆍ시행할 때에 해당 계획과 사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예측ㆍ평가하고 환경보전방안 등을 마련하도록 하여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발전과 건강하고 쾌적한 국민생활을 도모함을 목적

 

■ 전략환경영향평가의 개념

 ◎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을 수립할 때에 환경보전계획과의 부합 여부 확인 및 대안의 설정ㆍ분석 등을 통하여 환경적 측면에서 해당 계획의 적정성 및 입지의 타당성 등을 검토하여 국토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것

 

■ 전략환경영향평가서의 작성

 ◎ 초안의 작성(법12조)

    - ① 개발기본계획을 수립하는 행정기관의 장은 제11조에 따라 결정된 전략환경영향평가항목등에 맞추어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작성한 후 제13조에 따라 주민 등의 의견을 수렴하여야 한다. 다만, 행정기관 외의 자가 제안하여 수립되는 개발기본계획의 경우에는 개발기본계획을 제안하는 자가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작성하여 개발기본계획을 수립하는 행정기관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② 개발기본계획을 수립하는 행정기관의 장은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다음 각 호의 자에게 제출하여 의견을 들어야 한다.

1. 환경부장관
2. 승인기관의 장(승인등을 받아야 하는 계획만 해당한다)
3.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관계 행정기관의 장
③ 제1항에 따른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의 작성방법과 제2항에 따른 의견 제출방법 등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주민의 의견수렴(13조)

   - 개발기본계획을 수립하려는 행정기관의 장은 개발기본계획에 대한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공고ㆍ공람하고 설명회를 개최하여 해당 평가 대상지역 주민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범위의 주민이 공청회의 개최를 요구하면 공청회를 개최하여야 한다.
② 개발기본계획을 수립하려는 행정기관의 장은 개발기본계획이 생태계의 보전가치가 큰 지역, 환경훼손 또는 자연생태계의 변화가 현저하거나 현저하게 될 우려가 있는 지역 등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관계 전문가 등 평가 대상지역의 주민이 아닌 자의 의견도 들어야 한다.
③ 개발기본계획을 수립하려는 행정기관의 장이 책임질 수 없는 사유로 제1항에 따른 설명회나 공청회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못하는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설명회나 공청회를 개최하지 아니할 수 있다. 이 경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설명회 또는 공청회에 준하는 방법으로 주민 등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④ 개발기본계획을 수립하려는 행정기관의 장은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주민등의 의견 수렴 결과와 반영 여부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공개하여야 한다.
⑤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공고ㆍ공람, 설명회 또는 공청회 개최, 그 밖에 의견 수렴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전략환경영향평가항목등의 결정내용 및 조치 내용
 ◎주민 등의 의견 검토내용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 대한 주민, 관계 행정기관의 의견 및 이에 대한 반영 여부(개발기본계획만 해당한다)
 ◎부록
가. 전략환경영향평가 시 인용한 문헌 및 참고한 자료
나. 전략환경영향평가에 참여한 사람의 인적사항
다. 전략환경영향평가 대행계약서 사본 등 대행 도급금액이 표시된 서류(전략환경영향평가서 작성을 대행하게 하였을 경우만 해당한다)
라. 용어 해설 등

 

728x90

댓글()

용도지역의 세분 - 녹지지역

기사/조경기사|2021. 9. 5. 19:59
728x9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0조 ( 약칭: 국토계획법 시행령 )

 

1. 주거지역

가. 전용주거지역 :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1) 제1종전용주거지역 : 단독주택 중심의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2) 제2종전용주거지역 : 공동주택 중심의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나. 일반주거지역 :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1) 제1종일반주거지역 : 저층주택을 중심으로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2) 제2종일반주거지역 : 중층주택을 중심으로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3) 제3종일반주거지역 : 중고층주택을 중심으로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다. 준주거지역 : 주거기능을 위주로 이를 지원하는 일부 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2. 상업지역

가. 중심상업지역 : 도심ㆍ부도심의 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의 확충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나. 일반상업지역 : 일반적인 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을 담당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다. 근린상업지역 : 근린지역에서의 일용품 및 서비스의 공급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라. 유통상업지역 : 도시내 및 지역간 유통기능의 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3. 공업지역

가. 전용공업지역 : 주로 중화학공업, 공해성 공업 등을 수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나. 일반공업지역 : 환경을 저해하지 아니하는 공업의 배치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

다. 준공업지역 : 경공업 그 밖의 공업을 수용하되, 주거기능ㆍ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의 보완이 필요한 지역

300x250

4. 녹지지역

가. 보전녹지지역 : 도시의 자연환경ㆍ경관ㆍ산림 및 녹지공간을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

나. 생산녹지지역 : 주로 농업적 생산을 위하여 개발을 유보할 필요가 있는 지역

다. 자연녹지지역 : 도시의 녹지공간의 확보, 도시확산의 방지, 장래 도시용지의 공급 등을 위하여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으로서 불가피한 경우에 한하여 제한적인 개발이 허용되는 지역

728x90

댓글()

조경기사 일정 및 과목, 합격률, 출제기준

기사/조경기사|2021. 8. 15. 01:20
728x90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②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조경학, 원예조경학, 환경조경학, 녹지조경학 관련학과, 토목도 가능

③ 시험과목

 - 필기 1. 조경사 2. 조경계획 3. 조경설계 4. 조경식재 5. 조경시공구조학 6. 조경관리론

 - 실기 : 조경설계 및 시공 실무

④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작업형(5시간 정도)

⑤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합격률

조경기사 필기 합격률은 29.2%로 굉장히 낮고 쉬운시험은 아니다

조경기사 실기 합격률은 33.9%로 굉장히 낮고 쉬운시험은 아니다

 

종목명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조경기사 2020 3,884 1,056 27.2% 1,632 702 43%
조경기사 2019 4,505 704 15.6% 1,412 561 39.7%
조경기사 2018 3,858 931 24.1% 1,538 691 44.9%
조경기사 2017 4,371 840 19.2% 1,267 555 43.8%
조경기사 2016 4,289 727 17% 1,228 584 47.6%
조경기사 2015 5,078 831 16.4% 1,402 544 38.8%
조경기사 2014 6,449 396 6.1% 888 544 61.3%
조경기사 2013 7,418 801 10.8% 1,494 720 48.2%
조경기사 2012 8,340 855 10.3% 2,007 900 44.8%
조경기사 2011 9,839 1,278 13% 2,472 871 35.2%
조경기사 2010 10,147 1,524 15% 2,838 925 32.6%
조경기사 2009 8,453 675 8% 1,806 647 35.8%
조경기사 2008 6,618 1,010 15.3% 2,213 721 32.6%
조경기사 2007 5,801 999 17.2% 1,761 601 34.1%
조경기사 2006 5,892 872 14.8% 2,393 633 26.5%
조경기사 2005 4,204 889 21.1% 2,111 393 18.6%
조경기사 2004 3,595 654 18.2% 1,185 226 19.1%
조경기사 2003 3,173 708 22.3% 1,289 360 27.9%
조경기사 2002 3,155 538 17.1% 1,100 413 37.5%
조경기사 2001 2,827 716 25.3% 1,539 540 35.1%
조경기사 1977
~2000
35,662 10,411 29.2% 16,474 4,835 29.3%

 


 

조경기사(2021.1.1._2024.12.31.).hwp
0.05MB

 

■출제기준

1. 조경사(문제수 20개)

필기과목명 문제수 주요항목 세부항목 세세항목
조경사





20





1. 조경사 일반

1. 기원과 조경양식의 발달 1. 조경의 기원
2. 조경양식의 변천
2. 인간과 환경의 관계 변천사 1. 사회적 변천과 물리적 형태
2. 도시 및 건축의 변천과 관계
2. 조경양식 변천사 1. 동서양 조경양식 변천 1. 서양조경의 특징
2. 한국조경의 특징
3. 중국조경의 특징
4. 일본조경의 특징
3. 서양의 조경 1. 고대 조경 1. 이집트 정원
2. 서부아시아 정원
3. 그리스 정원
4. 고대 로마 정원
2. 중세 조경 1. 중세서구 정원
2. 이란 정원
3. 스페인 정원
4. 무굴인도 정원
3. 르네상스 조경 1.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
2. 프랑스 정원
3. 튜터스튜어트조의 영국정원
4. 18세기 조경 1. 영국의 풍경식정원
2. 프랑스의 풍경식정원
3. 독일의 풍경식정원
5. 19세기 조경 1. 일반적인 경향
2. 영국의 공공공원
3. 미국의 19세기 정원
6. 현대 조경 1. 1900 1차 세계대전
2. 1차 세계대전 1944
3. 1945년 이후
4. 동양의 조경 1. 중국 조경 1. 은주시대
2. 진한시대
3. , , 남북조시대
4. , 당시대
5. , , 원시대
6. , 청시대
2. 일본 조경 1. 평안시대
2. 겸창, 남북시대
3. 실정시대
4. 도산시대
5. 강호시대
6. 명치시대



5. 한국 조경


1. 선사시대 조경
1. 선사시대
2. 고조선시대
2. 고대시대 조경
1. 삼국시대
2. 발해시대
3. 통일신라시대
3. 중세 및 근세조경
1. 고려시대
2. 조선시대
4. 근대 및 현대조경


1. 일제강점기
2. 현대조경




2. 조경 계획(문제수 20개)

필기과목명 문제수 주요항목 세부항목 세세항목
조경
계획





20





1. 조경일반 1. 조경의 정의 및 조경가의 역할 1. 조경의 개념 및 영역
2. 조경가의 역할
2. 조경 대상 및 타 분야와의 관계 1. 도시계획과 조경
2. 환경과 조경
3. 건축, 토목, 설비의 관련사항
2. 조경계획과정 1. 자연환경조사 분석 1. 지형 및 지질조사
2. 기후조사
3. 토양조사
4. 수문조사
5. 생태조사
6. 경관조사
7. 기타 조사
2.인문사회환경조사분석 1. 토지이용조사
2. 인구 및 산업조사
3. 역사 및 문화유적조사
4. 교통 및 동선 조사
5. 시설물조사
6. 수요자 요구조사
3. 행태환경심리기능의 조사 분석 1. 환경심리학
2. 환경지각, 인지, 태도
3. 미적 지각반응
4. 행태심리
5. 문화적, 사회적, 감각적 환경과 행태
6. 크기와 인간행태
7. 도시환경과 인간행태
8. 자연환경과 인간행태
9. 환경시설 연구방법
10. 색채, 조형
4. 분석의 종합 및 평가 1. 기능분석
2. 규모분석
3. 구조분석
4. 형태분석
5. 상위계획의 수용
6. 타당성 검토

5. 기본구상 1. 계획의 접근방법(물리생태, 시각미학, 사회행태 등)
2. 기본개념의 확정
3. 프로그램 작성
4. 도입시설 선정
5. 수요추정
6. 대안의 작성
7. 대안평가
6. 기본계획 1. 토지이용계획
2. 교통동선계획
3. 공간 및 시설배치계획
4. 식재계획
5. 기반조성계획
6. 관리계획 작성
3. 대상지별 조경 계획 1. 주거공간 1. 단독주거공간
2. 집합주거공간
3. 복합지역공간
2. 레크리에이션 1. 공원녹지계획
2. 도시 및 자연공원
3. 관광지 및 유원지
4. 골프장 및 체육시설
5. 산림휴양시설
6. 기타
3. 교통시설 1. 보행 및 자전거도로
2. 차량도로
3. 주차장
4. 철도, 공항 및 항만 등
4. 공장 및 산업단지 1. 공장주변
2. 산업단지주변
5. 학교 및 캠퍼스 1. 유아 및 유치원
2. 중등학교
3. 대학교
6. 업무빌딩 및 상업시설 1. 업무용빌딩
2. 상업시설
3. (mall)공간
7. 특수 환경 1. 옥상 및 벽면녹화
2. 인공지반녹화
3. 문화재
4. 비탈면녹화
5. 생태하천 및 인공습지
6. 임해매립지
7. 기타
4. 시설물의 조경 계획 1. 급배수시설 1. 급수시설
2. 표면배수
3. 심토층배수
4. 기타시설

2. 휴게시설 1. 파고라
2. 의자
3. 야외탁자
4. 정자
5. 평상
6. 기타시설

3. 유희시설 1. 단위놀이시설
2. 복합놀이시설
3. 주제형 놀이시설
4. 기타시설

4. 운동시설 1. 축구장
2. 테니스장
3. 배드민턴장
4. 농구장
5. 게이트볼장
6. 기타 시설
5. 수경시설 1. 폭포 및 벽천
2. 실개천
3. ()
4. 분수
6. 관리 및 편익시설 1. 관리 사무소
2. 공중화장실
3. 전망대
4. 울타리
5. 기타 시설
7. 안내표지시설 1. 정보시설
2. 규제시설
3. 공원안내시설
4. 기타 시설

  8. 경관조명시설 1. 경관조명
2. 가로조명
3. 보행가로조명
4. 공원조명
5. 수중조명
6. 기타조명
5. 조경계획 관련 법규







1. 도시계획관련규정 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2. 도시·군 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3. 기타 도시계획관련 규정
2. 자연공원관련규정 1. 자연공원법, 시행령, 시행규칙
3. 도시공원관련규정 1.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4. 영향평가 1. 환경영향, 경관영향평가 등
2. 이용 후 평가(목적, 대상 등)

5. 기타 조경관련 규정 1. 건설관련 규정
2. 환경관련 규정
3. 관광 및 체육시설관련 규정

300x250

3. 조경 설계(문제수 20개)

필기과목명 문제수 주요항목 세부항목 세세항목
조경설계 20 1. 제도의 기초 1. 1. 선의 종류
2. 선의 용도
2. 치수선의 사용 1. 치수선의 표기방법
2. 치수선의 용도
3. 치수선의 종류
3. 설계기호 및 표현기법 1. 설계기호
2. 설계의 표현기법
4. 기타 제도사항 1. 제도에 사용되는 문자
2. 제도 용어
3. 제도 척도
4. 제도용 및 필기용 도구
5. 제도에 사용되는 투상법
6. 기타 사항
2. 설계과정 1. 기본설계 1. 주택정원설계
2. 도시조경설계
3. 도로조경설계
4. 공장, 학교조경설계
5. 옥상 및 벽면조경설계
6. 인공지반조경설계
7. 실내조경설계
8. 골프장설계
9. 기타 설계
2. 실시설계 1. 실시설계과정
2. 상세도
3. 단면도
4. 조감도
3. 설계설명서 1. 시방서
2. 현장 설계설명서
3. 각종 도면작성에 관한 사항
3. 경관분석 1. 경관분석의 분류 1. 자연경관분석
2. 도시경관분석

2. 경관의 표현 1. 경관 이미지
2. 경관 선호도

3. 경관분석방법 및 유형 1. 분석방법의 선택
2. 분석방법의 일반적 조건
3. 분석방법의 분류

4. 경관분석의 접근방식 1. 생태학적
2. 형식미학적
3. 정신물리학적
4. 심리학적
5. 기호학적
6. 현상학적
7. 경제학적

5. 경관평가 수행기법 1. 경관의 물리적 속성
2. 시뮬레이션 기법
3. 평가자 선정
4. 미적반응측정

4. 조경미학 1. 디자인 요소 1.
2.
3. 형태
4. 공간
5. 깊이
6. 질감
7. 기타

2. 색채이론 1. 빛과 색
2. 색채지각
3. 색채의 지각적 특성
4. 색채 지각효과 및 감정효과
5. 색의 혼합
6. 색의 체계 및 조화

3. 디자인원리 및 형태 구성 1. 조화
2. 통일과 변화
3. 균형
4. 율동
5. 강조
6. 기타

4. 환경미학 1. 시야의 척도
2. 시지각의 특성
3. 연속경관
4. 부각, 앙각, 응시, 착시
5. 공간의 한정 형태
6. 공간과 거리감
7. 공간의 개방감과 폐쇄감
5. 조경시설물의 설계 1. 운동시설 설계 1. 재료 및 설계일반
2. 육상경기장
3. 축구장
4. 테니스장
5. 배구장
6. 농구장
7. 야구장
8. 핸드볼장
9. 배드민턴장
10. 게이트볼장
11. 씨름장
12. 수영장
13. 체력단련시설
14. 기타 시설

2. 유희시설 설계 1. 재료 및 설계일반
2. 단위 놀이시설
3. 복합 놀이시설
4. 주제형 놀이시설
5. 동력 놀이시설
6. 기타 시설

3. 휴게시설물 설계 1. 재료 및 설계일반
2. 파고라(그늘시렁)
3. 그늘막(쉘터)
4. 원두막
5. 의자
6. 앉음벽
7. 야외탁자
8. 평상
9. 정자
10. 기타 시설

4. 경관조명시설물 설계 1. 재료 및 설계일반
2. 보행등
3. 정원등
4. 수목등
5. 잔디등
6. 공원등
7. 수중등
8. 투과등
9. 광섬유조명
10. 기타 조명
5. 수경시설물 설계 1. 재료 및 설계일반
2. 폭포 및 벽천
3. 실개천
4. ()
5. 분수
6. 기타 시설
6. 포장설계 1. 재료 및 설계일반
2. 포장재의 종류
3. 보도용 포장
4. 자전거도로의 포장
5. 차도 및 주차장의 포장
6. 기타 포장설계
7. 표지시설의 설계 1. 재료 및 설계일반
2. 설계요소
3. 주택단지의 표지시설
4. 공원의 표지시설
5. 기타 지역의 시설

8. 기타 시설물의 설계 1. 관수시설
2. 배수 및 저류시설
3. 관리 및 편익시설
4. 조경구조물
5. 조경석
6. 환경조형시설
7. 비탈면, 인공지반, 생태복원관련 시설물설계
8. 빗물처리시설

4. 조경 식재(문제수 20개)

필기과목명 문제수 주요항목 세부항목 세세항목
조경식재
\
20 1. 식재일반 1. 식재의 효과 1. 시각적 조절
2. 물리적 조절
3. 기후조절
4. 소음조절
5. 공기정화
6. 완충조절
2. 배식원리 1. 정형식재
2. 자연풍경식재
3. 자유식재
4. 독립수식재
5. 군락식재
3. 식생과 토양 1. 식생의 특징
2. 식생의 구분
3. 토양의 정의
4. 토양의 물리적 성질
5. 토양수분
6. 토양공기
7. 토양의 화학적 성질
8. 토양유기물과 부식
9. 토양의 분류
2. 식재계획 및 설계 1. 식재환경 1. 식재기반조성
2. 옥외공간
3. 실내공간
4. 특수공간
2. 기능식재 1. 명암순응식재
2. 가로막기식재
3. 녹음식재
4. 방음식재
5. 방풍식재
6. 방화식재
7. 방설식재
8. 지표식재
3. 경관조성식재 1. 조경양식에 의한 식재형식
2. 건물과 관련된 식재형식
3. 미적 효과와 관련된 식재형식
4. 기타 식재형식
4. 특수지역식재 1. 도로식재
2. 비탈면식재
3 벽면 및 수직구조물 식재
4. 임해매립지식재
5. 인공지반식재(옥상, 지붕)
6. 텃밭조성
5. 실내식물환경조성 및 설계 1. 실내식물의 역사와 기원
2. 실내공간의 식물 기능과 역할
3. 실내식물의 환경조건
4. 실내식물의 도입
5. 실내공간의 구조물
6. 실내조경에 쓰이는 식물

3. 조경식물재료 1. 조경식물의 학명 및 특성 분류 1. 조경식물의 분류
2. 학명 및 보통명
3. 식물명명법의 특징
4. 식물의 특징별 분류

2. 조경식물의 이용상 분류 1. 미화장식용 식물
2. 생울타리 및 은폐용 식물
3. 녹음용 식물
4. 방풍용 식물
5. 방연용 식물
6. 방조용 식물
7. 방사 및 방진용 식물
8. 방화용 식물
9. 방설용 식물
3. 조경식물의 형태및 생리생태적 특성 1. 성상별 특성
2. 관상 가치별 특성
3. 생리적 특성
4. 생태적 특성
4. 조경식물의 기능적 특성 1. 명암순응식재의 특성
2. 가로막기식재의 특성
3. 녹음식재의 특성
4. 방음식재의 특성
5. 방풍식재의 특성
6. 방화식재의 특성
7. 방설식재의 특성
8. 지표식재의 특성

5. 조경식물의 내환경성 1. 종자의 채집과 저장
2. 종자의 발아생리
3. 번식일반
4. 삽목 및 접목이론
6. 실내 조경식물재료의 특성 1. 광선
2. 수분
3. 온도
4. 토양
5. 양분
6. 공기
7. 순화
8. 관리
4. 조경식물의 생태와 식재 1. 조경식물의 생태 1. 식물생태계의 특성
2. 군집 생태
3. 개체군 생태
2. 조경식물의 식재 일반식재
군락식재
5. 식재공사 1. 이식계획 1. 이식시기
2. 이식수종의 특성
3. 이식과 식재방법
2. 수목식재 1. 수목의 굴취와 운반
2. 식재방법
3. 식재 후의 관리
3. 지피류 및 초화류식재 1. 적용범위
2. 지피류 및 초화류의 분류
3. 지피류 및 초화류의 식재
4. 잔디의 식재기반조성 및 붙이기
5. 종자뿜어붙이기
4. 특수환경지의 식재 1. 비탈면 및 훼손지의 환경일반
2. 도입식물의 선정
3. 생육기반의 조성
4. 비탈면의 복원
5. 자연친화형 하천 조성
6. 생태연못, 습지 조성
7. 훼손지 생태복원
8. 생물서식지 공간조성
9. 생태계 이전식재
5. 식재 후 조치 1. 줄기와 가지의 건조방지
2. 지주시설 설치
3. 관수와 시비

 

5. 조경시공 구조학(문제수 20개)

필기과목명 문제수 주요항목 세부항목 세세항목
조경시공
구조학
20 1. 시공의 개요 1. 조경시공재료 1. 조경시공재료의 적용
2. 시공재료의 분류와 요구 성능
3. 시공재료의 규격화

2. 시방서 1. 시방서의 개요
2. 시방서의 분류
3. 시방서의 작성
3. 공사계약 및 시공방식 1. 공사계약
2. 입찰집행
3. 공사시공방식
4. 도급금액 결정방식
5. 공사의 입찰방법
4. 공정표 1. 공정표의 작성
2. 공정표의 구성요소
3. 공정표의 특징
4.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
5. 일정계산
2. 조경시공일반 1. 공사준비 1. 보호대상의 확인 및 관리
2. 지장물의 제거
3. 부지배수 및 침식방지
4. 재활용

2. 토양 및 토질 1. 토양의 분류 및 조성
2. 토양의 조사 분석
3. 흙의 성질
4. 포장공간의 설계
5. 전단강도와 사면의 안정
6. 비탈면의 보호
7. 토압과 구조물
8. 토량변화율

3. 지형 및 시공측량 1. 지형의 묘사
2. 등고선의 정의 및 특징
3. 지형도 일반
4. 측량일반
5. 좌표 및 측점
4. 정지 및 표토복원 1. 일반사항
2. 정지작업의 고려사항
3. 정지작업의 준비 및 시행
4. 성토와 절토의 체적
5. 표토의 채취, 보관, 복원
5. 가설공사 1. 가설울타리
2. 가설건물
3. 가설공급시설
4. 가식장
5. 공사용 도로

6. 현장관리 1. 공정관리
2. 노무관리
3. 자재관리
4. 장비관리
5. 자금관리
6. 안전환경관리
7. 품질관리
3. 공종별 공사 1. 조경재료 일반 1. 재료와 제품
2. 재료의 표준과 다양성
3. 표준규격
4. 특허와 신기술

2. 조경재료의 일반적 성질 1. 조경재료의 분류
2. 재료의 역학적 성질
3. 재료의 물리적 성질
4. 재료의 화학적 성질
5. 재료의 미학적 성질
6. 재료의 친환경적 성질
7. 내구성

3. 조경재료별 특성 1. 목재
2. 석재
3. 콘크리트재
4. 금속재
5. 벽돌·점토 및 타일
6. 합성수지
7. 미장 및 도장재
8. 옥외포장재
9. 생태복원재
10. 급배수·저류시설재
11. 기타
4. 공종별 공사 1. 수경시설공사
2. 구조물기반조성공사
3. 경관구조물공사
4. 식생구조물공사
5. 조경석공사
6. 환경조형물공사
7. 관리 및 편익시설공사
8. 안내시설물공사
9. 유희시설물공사
10. 운동시설공사
11. 경관조명공사
12. 테크시설공사
13. 포장공사
14. 생태복원공사
15. 실내조경공사
16. 관배수시설공사
4. 조경적산 1. 수량산출 1. 토공량
2. 기계장비의 양
3. 벽돌 및 콘크리트량
4. 철근 및 거푸집량
5. 수목 및 잔디(초화류)
6. 기타 수량

2. 표준품셈 1. 할증량
2. 조경관련 품셈
3. 건설기계관련 품셈
3. 일위대가표 작성 1. 단위공정별 일위대가표 작성

4. 공사비 산출 1. 재료비
2. 노무비
3. 경비
4. 기타 공사비
5. 총공사비

5. 기본구조역학 1. 구조설계의 개념과 과정 1. 구조설계의 개념
2. 구조설계의 과정
2. 힘과 모멘트 1.
2. 힘의 합성과 분해
3. 모멘트

3. 구조물 1. 하중의 종류
2. 지점과 반력
3. 구조물의 정지조건
4. 구조물의 역학적 분류
4. 부재의 선택과 크기결정 1. 단주의 설계
2. 담장 및 데크의 구조설계
3. 옹벽의 안전성 검토

 

6. 조경시공 구조학(문제수 20개)

 

필기과목명 문제수 주요항목 세부항목 세세항목
조경관리론 20 1. 운영 관리 1. 운영관리개요 1. 운영관리의 체계
2. 운영관리의 원칙
3. 운영관리의 방식

2. 운영관리 계획 1. 연간운영 관리계획 수립
2. 조직 관리
3. 재산 관리
4. 외주 관리
5. 민원 관리

2. 조경식물관리 1. 조경식물의 유지관리 1. 정지 및 전정
2. 비배관리
3. 잔디관리
4. 지피 및 초화류관리
5. 수목보호관리
6. 기타 조경관리(관수, 지주목, 멀칭, 월동 청결유지 등)

2. 충해관리 1. 전염성병관리
2. 비전염성관리
3. 해충관리
4. 농약 및 방제법

3. 시설물관리 1. 시설물관리 개요 1. 시설물유지관리의 원칙
2. 관리의 개요

2. 기반시설물관리 1. ·배수시설물
2. 포장시설물
3. 옹벽 등 구조물
4. 수경시설물
5. 부속 건축물
6. 기타 기반시설물

3. 조경시설물 관리 1. 유희시설물
2. 휴게 및 편의시설물
3. 운동시설물
4. 조명시설물
5. 안내시설물
6. 기타 시설물
4. 이용관리계획 1. 이용관리개요 1. 이용관리의 개념 및 특성
2. 이용관리와 이용자관리
3. 주민참여
2. 이용관리 1. 이용자 현황분석
2. 이용 방법 지도
3. 이용프로그램 기획·개발
4. 이용프로그램 운영
5. 문화 이벤트 행사 관리
6. 안전 관리
7. 홍보·마케팅
8. 자원봉사 운영·관리
9. 이용편의 개선

3. 공원이용 및 레크리에이션 시설 이용관리 1. 도시공원 녹지관리
2. 자연공원지역의 관리
3. 레크리에이션 관리의 개념
4. 레크리에이션 관리의 목적
5. 부지의 관리
6. 레크리에이션 수용능력

 

 


실기

실기과목명 주요항목 세부항목 세세항목
조경설계 및 시공실무 1. 조경계획 1. 환경조사분석하기





1. 자연생태환경 조사분석을 할 수 있다.
2. 인문사회환경 조사분석을 할 수 있다.
3. 관련계획 법규 조사분석을 할 수 있다.
4. 종합분석도 작성을 할 수 있다.
2. 조경기본구상하기



1. 수요추정을 할 수 있다.
2. 도입시설 선정을 할 수 있다.
3. 대안작성을 할 수 있다.
4. 기본구상도 작성을 할 수 있다.
3. 조경기본계획 수립하기 1. 토지이용계획 수립을 할 수 있다.
2. 동선 계획을 할 수 있다.
3. 마스터플랜 작성을 할 수 있다.
4. 계획보고서 작성을 할 수 있다.
2. 조경설계 1. 조경기본설계하기 1. 공종별 상세계획을 할 수 있다.
2. 기본설계도면 작성을 할 수 있다.
2. 지형기반시설 설계하기



1. 부지 정지 설계를 할 수 있다.
2. 도로 설계를 할 수 있다.
3. 주차장 설계를 할 수 있다.
4. 빗물처리 설계를 할 수 있다.
5. 배수시설 설계를 할 수 있다.
6. 관수시설 설계를 할 수 있다.
7. 포장 설계 할 수 있다.
8. 지형기반시설 도면 작성을 할 수 있다.
3. 식재설계하기



1. 상세 식재개념 구상을 할 수 있다.
2. 기능식재 설계를 할 수 있다.
3. 수종 선정 할 수 있다.
4. 식재기반 설계를 할 수 있다.
5. 수목식재 설계를 할 수 있다.
6. 지피 초화류 설계를 할 수 있다.
7. 훼손지 녹화 설계를 할 수 있다.
8. 생태복원 식재 설계를 할 수 있다.
9. 식재도면 작성를 할 수 있다.
4. 조경시설설계하기

1. 조경시설 개념 구상을 할 수 있다.
2. 조경시설 자재 선정을 할 수 있다.
3. 조경시설 배치를 할 수 있다.
4.휴게시설 설계를 할 수 있다.
5. 유희시설 설계를 할 수 있다.
6. 운동시설 설계를 할 수 있다.
7. 관리시설 설계를 할 수 있다.
8. 안내시설 설계를 할 수 있다.
9. 환경조형시설 설계를 할 수 있다.
10. 경관조명시설 설계를 할 수 있다.
11. 수경시설 설계 할 수 있다.
12. 조경시설도면 작성을 할 수 있다.
5. 조경공사비 내역서 작성하기





1. 설계도면 검토를 할 수 있다.
2. 수량 산출를 할 수 있다.
3. 자재단가 조사표 작성을 할 수 있다.
4. 일위대가 작성을 할 수 있다.
5. 공종별 내역서 작성을 할 수 있다.
3. 조경시공

1. 조경기반 시설공사하기

1. 측량을 할 수 있다.
2. 부지 조성을 할 수 있다.
3. 가설시설물 설치를 할 수 있다.
4. 관수시설 설치를 할 수 있다.
5. 배수시설 설치를 할 수 있다.
6. 빗물침투저장시설 설치를 수 있다.
2. 수목식재공사하기 1. 굴취를 할 수 있다.
2. 수목 운반을 할 수 있다.
3. 수목 가식을 할 수 있다.
4. 식재기반 조성을 할 수 있다.
5. 교목 식재를 할 수 있다.
6. 관목 식재를 할 수 있다.
7. 지피 초화류 식재를 할 수 있다.
8. 종자뿜어붙이기 공사를 할 수 있다.
3. 잔디식재공사하기 1. 잔디 기반 조성을 할 수 있다.
2. 잔디 식재를 할 수 있다.
3. 잔디 파종을 할 수 있다.
4. 조경구조물공사하기 1. 구조물 기반 조성을 할 수 있다.
2. 경관구조물 공사를 할 수 있다.
3. 식생구조물 공사하기
4. 수경시설 공사를 할 수 있다.
5. 조경석 공사를 할 수 있다.
5. 조경시설물공사하기 1. 안내시설물 설치를 할 수 있다.
2. 옥외시설물 설치를 할 수 있다.
3. 놀이시설 설치를 할 수 있다.
4. 운동시설 설치를 할 수 있다.
5. 경관조명시설 설치를 할 수 있다.
6. 환경조형물 설치를 할 수 있다.
7. 데크시설 설치를 할 수 있다.
8. 경관 펜스 설치를 할 수 있다.
6. 조경포장공사하기 1. 조경 포장기반 조성을 할 수 있다.
2. 조경 포장경계 공사를 할 수 있다.
3. 친환경흙포장 공사를 할 수 있다.
4. 탄성포장 공사를 할 수 있다.
5. 조립블록 포장 공사를 할 수 있다.
6. 조경 투수포장 공사를 할 수 있다.
7. 조경 콘크리트포장 공사를 할 수 있다.
7. 입체녹화공사하기 1. 녹화기반 조성을 할 수 있다.
2. 벽면녹화를 할 수 있다.
3. 인공지반녹화를 할 수 있다.
4. 지붕녹화를 할 수 있다.
5. 텃밭 조성을 할 수 있다.
8. 실내조경공사하기 1. 실내환경 조사분석을 할 수 있다.
2. 기반시설 조성을 할 수 있다.
3. 시설점경물 설치를 할 수 있다.
4. 실내식물 식재를 할 수 있다.
5. 관배수시설 설치를 할 수 있다.
4. 조경관리 1. 정지전정관리하기 1. 연간 정지전정 관리계획 수립을 할 수 있다.
2. 초화류관리하기 1. 계절별 초화류 조성 계획할 수 있다.
2. 초화류 시공도면 작성할 수 있다.
3. 식재기반 조성할 수 있다.
4. 초화류 병충해 관리할 수 있다.
3. 잔디관리하기 1. 잔디 시비 관리할 수 있다.
2. 잔디 병충해 관리할 수 있다.
4. 병해관리하기 1. 연간 병해 방제 계획 수립할 수 있다.
2. 병해 예방할 수 있다.
3. 병해 진단할 수 있다.
4. 생리적 피해 진단할 수 있다.
5. 병해 방제할 수 있다.
5. 충해관리하기 1. 연간 충해 방제 계획 수립할 수 있다.
2. 충해 예방할 수 있다.
3. 충해 진단할 수 있다.
4. 충해 방제할 수 있다.
6. 수목보호관리하기 1. 기상적 재해 / 공해 피해 진단을 할 수 있다.
2. 토양 관리를 할 수 있다.
7. 비배관리하기 1. 연간 비배관리 계획 수립을 할 수 있다.
2. 수목 생육상태 진단을 할 수 있다.
8. 조경시설물관리하기 1. 조경시설물 연간관리 계획 수립을 할 수 있다.
9. 조경기반시설관리하기 1. 조경기반시설 연간관리 계획 수립을 할 수 있다.
10. 운영관리하기 연간운영 관리계획 수립을 할 수 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