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기사 토질역학 필수공식(1/2)

728x90

1장 흙의 성질

1. 함수비

 

2. 간극비(e)

 

 

3. 간극률

 

4. 흙의 비중

5. 상대밀도

 

 

6. 포화도(S)

 

7. 단위중량

총단위중량

건조 단위중량

포화 단위중량

수중 단위중량

 

8. 수축한계시험

 

9. 흙의 연경도에서 얻어지는 지수


2장 흙의 분류

1. 균등계수

 

2. 곡률계수


3장 흙의 투수 및 배수

1. Darcy의 법칙

 

2. 투수계수

 

3. 평균투수계수

 

4. 투수계수와 간극비의 관계(사질토일 경우)

 

5. 모세관 현상

6. 유효응력의 개념

 

7. 상향침투인 경우의 간극수압

 

8. 침투압

 

9. 한계동수경사

 

10. 유선망

 

11. 동결깊이


4장 압밀이론

1. 시간계수

 

2. 압밀계수

 

3. 압밀도

 

4. 압밀 침하량

 

5. 투수계수

 

728x90

댓글()

[토질역학] 액상화 방지 공법

728x90

액상화(Liquefaction)란?

고체 물질이 압력이나 온도의 변화 없이 직접 액체 상태로 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특히 지진으로 인한 지반 액상화 현상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이 경우 액상화는 포화된 토양이 갑작스러운 진동으로 인해 강도와 강성을 상실하고 액체와 유사한 상태로 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 액상화 원리

액상화 현상은 물질의 상태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고체 내부의 입자들이 외부로부터 에너지(예: 진동, 열)를 받아 이동성이 증가하면서 액체와 유사한 상태로 전환됩니다. 지반 액상화의 경우, 토양 입자 사이의 물이 진동으로 인해 압력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토양 입자 간의 접촉력이 감소하여 토양이 액체처럼 흘러갈 수 있게 됩니다.

 

2. 액상화의 영향

액상화는 건축물의 기초 안정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지반 액상화가 발생하면, 토양의 지지력이 급격히 감소하여 건축물이 기울거나 붕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반 액상화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서는 건축 설계와 건설 과정에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3. 액상화 방지대책

 

3.1 Well Point

개요

정의: 일련의 작은 직경의 펌프(웰포인트)를 사용하여 지하수를 흡입하고 제거함으로써 지하수 수위를 낮추는 방법.

목적: 지하수 수위를 제어하여 지반의 안정성을 높이고, 액상화 가능성을 줄이며, 건설 작업을 용이하게 함.

 

공법의 원리

설치: 작은 직경의 필터가 달린 펌프(웰포인트)를 정해진 간격으로 지하에 설치합니다.

작동: 웰포인트에 연결된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지하수를 흡입하고 표면으로 이동시킵니다.

수위 조절: 지하수가 제거되면서 주변 지반의 수압이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지반의 액상화 위험이 감소합니다.

공법의 응용

건축 기초 작업: 기초 굴착이나 터널링 작업 시 지하수 수위를 낮추어 작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킵니다.

지반 개량: 지반 액상화 위험이 있는 지역에서 지반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수리 공학: , 제방, 수로 건설 시 지하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용됩니다.

장점 및 한계

장점: 비교적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광범위한 건설 현장에 적용 가능합니다. 또한, 작업 중 지하수 수위의 빠른 조절이 가능합니다.

한계: 매우 투수성이 높은 지반에서는 웰포인트의 효율이 감소할 수 있으며, 대규모 지역에서의 지하수 수위 조절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3.2 Deep Well

개요

정의: 깊은 지하수층에 직경이 큰 관정을 설치하고, 강력한 펌프를 사용하여 지하수를 지속적으로 퍼내어 지하수 수위를 낮추는 방법입니다.

목적: 건설 현장에서의 지하수 수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지반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액상화 가능성을 줄이며, 깊은 굴착 작업을 가능하게 함.

공법의 원리

설치: 깊이와 직경이 큰 관정을 지정된 위치에 설치합니다. 이 관정들은 지하수층까지 도달하도록 설계됩니다.

작동: 관정 내에 설치된 펌프를 사용하여 지하수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 주변 지역의 지하수 수위를 낮춥니다.

조절: 추출된 지하수 양을 조절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지하수 수위를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공법의 응용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 , 터널, 지하철역 등 대규모 구조물의 건설에 적합합니다.

깊은 기초 공사: 고층 건물, 교량의 깊은 기초 공사 시 지반 안정성 확보에 필수적입니다.

장기간 지하수 관리: 장기 프로젝트에서 지하수 수위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경우 사용됩니다.

장점 및 한계

장점: 깊은 지하수층까지 도달할 수 있어, 대규모 및 깊은 굴착 작업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또한, 장기간에 걸친 지하수 수위의 안정적인 조절이 가능합니다.

한계: 설치 및 운영 비용이 높을 수 있으며, 설치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소요됩니다. 또한, 지질 조건에 따라 적용성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3.3 SCP 

개요

정의: 연약한 지반에 시멘트 기반의 결합재를 주입하여 혼합 및 경화시켜 토양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지반 개량 방법.

목적: 지반의 강도와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액상화 위험을 감소시키고, 지지력을 증가시킵니다.

원리

시공 절차: 드릴링 장비를 사용하여 지반에 구멍을 뚫은 후, 시멘트와 물을 혼합한 결합재를 구멍 안으로 주입합니다.

혼합 및 경화: 결합재가 주변 토양과 혼합되면서 피어를 형성하고, 이 혼합물이 경화되어 지반을 강화합니다.

강화 효과: 혼합 및 경화 과정을 통해 생성된 소일시멘트피어는 지반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지반의 변형을 줄이며, 액상화 가능성을 감소시킵니다.

응용

액상화 방지: 지진 등의 자연 재해 시 액상화 위험이 있는 지역에서 지반을 강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초 강화: 건물, 다리, 도로 등의 구조물 기초 아래 연약한 지반을 강화하기 위해 적용됩니다.

경사면 안정화: 지반의 경사면을 안정화하고, 산사태 등의 지반 이동을 방지하는 데도 사용됩니다.

장점 및 한계

장점: 연약한 지반의 강도와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교적 빠른 시공이 가능합니다. 또한, 현장 조건에 맞춰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한계: 시공 비용이 높을 수 있으며, 시공 시 주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특정 지질 조건에서는 기대한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3.4 Vibro floatation

개요

정의: 강력한 진동을 이용하여 느슨한 토양 입자를 재배치하고, 필요에 따라 충전재(모래, 자갈 등)를 주입하여 지반의 밀도와 강도를 향상시키는 지반 개량 방법.

목적: 느슨한 토사 지반의 밀도를 증가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지반 액상화 위험을 감소시키며, 전반적인 지반 조건을 개선합니다.

공법의 원리

진동 장비 사용: 바이브로플로트(vibroflot)라고 불리는 진동 장비를 토양에 삽입합니다. 이 장비는 강력한 진동을 발생시켜 주변 토양 입자를 재배치합니다.

입자 재배치: 진동으로 인해 토양 입자 사이의 공극이 재배치되어 밀도가 증가하며, 이는 지반의 지지력을 향상시킵니다.

충전재 주입: 필요에 따라 바이브로플로트를 사용하여 모래나 자갈과 같은 충전재를 주입하여 토양의 밀도를 추가로 증가시킵니다.

공법의 응용

액상화 방지: 지진 발생 시 액상화 위험이 있는 지역에서 지반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기초 강화: 건축물, 다리, 도로 등의 구조물 기초 아래의 지반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경사면 및 둑 안정화: 경사진 지반 또는 둑의 안정성을 개선하는 데 적용됩니다.

장점 및 한계

장점: 빠른 시공 속도와 현장 조건에 대한 높은 적응성을 가지며, 특히 느슨한 토사 지반에서 효과적인 지반 개량을 제공합니다. 또한, 환경적 영향이 비교적 적은 편입니다.

한계: 진동으로 인해 주변 구조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매우 단단한 토양이나 암반에는 적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3.5 동다짐공법

개요

정의: 큰 무게의 충격체를 일정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켜 지반을 다지는 방법으로, 지반의 밀도를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반 개량 기술입니다.

목적: 느슨한 토사 지반, 충전지, 매립지 등의 지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액상화 위험을 감소시키며, 지지력을 증가시킵니다.

공법의 원리

낙하충격: 크레인이나 기타 중장비를 사용하여 무거운 충격체(보통 철제 또는 콘크리트 블록)를 지정된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킵니다.

다짐 효과: 충격체의 낙하로 인한 충격과 진동이 지반을 통해 전달되면서 토양 입자 사이의 공극을 줄이고, 공기와 물이 배출되어 지반의 밀도가 증가합니다.

다짐 패턴: 지반 개량이 필요한 전체 지역에 걸쳐 시스템적으로 다짐 작업을 수행하여 균일한 밀도와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공법의 응용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 산업 단지, 공항, 도로 및 교량 건설 등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에서 지반 안정화를 위해 사용됩니다.

매립지 및 충전지: 폐기물 매립지 또는 충전지의 밀도를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개선하는 데 적용됩니다.

지반 액상화 방지: 지진 발생 시 액상화 위험이 있는 지역에서 지반을 강화하고, 액상화 가능성을 줄이는 데 사용됩니다.

장점 및 한계

장점: 큰 면적의 지반 개량을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으며,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지반 개량 방법입니다. 또한, 환경적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한계: 충격과 진동으로 인해 주변 구조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매우 단단한 지반 또는 깊은 지반 개량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6 치환공법

개요

정의: 연약한 지반 또는 불량한 토양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고강도의 재료를 채워 넣어 지반의 강도와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지반 개량 방법.

목적: 지반의 지지력 강화, 액상화 방지, 수리적 성능 개선 등을 위해 연약한 지반을 우수한 재료로 교체합니다.

공법의 원리

지반 제거: 연약한 지반 또는 불량한 토양을 특정 깊이까지 제거합니다. 이 과정에서 굴착 장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재료 충전: 제거된 지반의 공간에 고강도의 충전재(: 모래, 자갈, 암석)를 채워 넣습니다. 충전재는 지반의 물리적, 구조적 성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다짐 및 정리: 충전재를 채운 후, 해당 지역을 다짐하여 밀도를 높이고, 지반의 균일성을 확보합니다.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정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공법의 응용

기초 공사: 건물, 다리, 도로 등의 구조물 기초 아래 연약한 지반을 개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액상화 방지: 지진 등의 자연 재해 시 액상화 위험이 있는 지역에서 지반을 강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수리적 성능 개선: 지하수 유동 특성을 개선하거나, 배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용됩니다.

장점 및 한계

장점: 지반의 강도와 안정성을 명확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액상화 방지 및 수리적 성능의 개선에도 효과적입니다.

한계: 대규모 굴착 및 충전 작업으로 인한 비용이 높을 수 있으며, 작업 과정에서 주변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작업 지역의 접근성이나 지반 조건에 따라 적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3.7 Gravel Drain

개요

정의: 연약한 지반 내에 자갈 등의 배수 재료를 사용하여 세로 배수 채널을 설치하고, 지반 내 수압을 감소시키며 지반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지반 개량 방법.

목적: 지반의 배수 능력을 향상시키고, 액상화 위험을 감소시키며, 지반의 전반적인 안정성을 개선합니다.

공법의 원리

배수 채널 설치: 연약한 지반에 수직으로 자갈배수 채널을 설치합니다. 이 채널들은 주로 자갈, 깨진 돌 등의 투수성이 높은 재료로 채워집니다.

수압 감소: 자갈배수 채널을 통해 지반 내의 수압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킵니다. 이는 지반 내에 축적된 물이 채널을 따라 수직으로 빠르게 배출되도록 합니다.

액상화 방지: 지반 내 수압이 감소함에 따라 지진 발생 시 액상화되는 위험이 크게 줄어듭니다.

공법의 응용

지진 대비: 지진 발생 시 액상화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서 지반 안정화를 위해 사용됩니다.

기초 공사: 건물, 다리 등의 구조물 기초 아래 연약한 지반을 개량하기 위해 적용됩니다.

지반 강화: 다양한 건설 프로젝트에서 지반의 강도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장점 및 한계

장점: 지반 내 수압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액상화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입니다. 또한, 배수 효율이 우수하여 지반의 빠른 개량이 가능합니다.

한계: 설치 과정에서 주변 지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매우 단단한 지반 또는 암반에는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728x90

댓글()

[토목기사/수리수문학] 유체의 기본 성질

728x90

1. 밀도(=비질량)

1.1 정의

단위 부피당 물질의 질량을 의미합니다. 즉, 물질이 얼마나 빽빽하게 채워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1.2 사용 기호

일반적으로 ρ (그리스 문자 로)로 표시

ρ=m/V=w/g

1.3 특성

  • 단위: 밀도의 단위는 kg/m³ , t/m³ , g/cm³  입니다.
  • 온도 및 압력 변화: 밀도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변합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아지면 밀도는 감소하고, 압력이 높아지면 밀도는 증가합니다.
  • 물의 밀도: 4℃의 순수한 물의 밀도는 1000 kg/m³입니다.(최대 값)
  • 비중: 비중은 물의 밀도를 4℃ 순수한 물의 밀도로 나눈 값입니다. 비중은 무차원량입니다.
예시1
질문: 20℃의 물의 밀도는 998 kg/m³입니다. 500 L의 물의 질량은 얼마입니까?답: 499 kg해설:
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을 의미합니다. 20℃의 물의 밀도는 998 kg/m³입니다. 즉, 1m³의 물은 998kg의 질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시2
용적 V = 5.9m³ 인 유체의 중량 W = 7.49ton일 때 이 유체의 밀도(ρ)를 구하면 얼마인가?

Sol) ω = 7.49ton / 5.9m³ = 1.27ton/m³
ρ=ω/g=1.27t/m³ / 9.8m/sec² = 129.6kg sec²/m⁴

유체의 중량을 W=7.49ton이라고 말하던데 이것은 중량이아니라 질량으로 불러야되는게 아닌가?
문제에서 유체의 중량을 W = 7.49 ton 이라고 말했습니다. ton은 질량의 단위이지만, 일상생활에서는 중량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W = 7.49 ton은 유체의 중량을 의미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저도 옛날에 기사공부할때 이부분이 너무 헷갈렸습니다.

2. 중량

1.1 정의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즉, 물체가 지구에 의해 얼마나 강하게 끌어당겨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1.2 사용기호

W = mg = wV

 

1.3 특성

  • 단위: 중량의 단위는 N (뉴턴)입니다.
  • 질량 및 중력 가속도 변화: 중량은 질량과 중력 가속도에 따라 변합니다. 질량이 증가하거나 중력 가속도가 증가하면 중량도 증가합니다.
  • 지구상에서의 중력 가속도: 지구상에서의 중력 가속도는 9.81 m/s²입니다.
유체 흐름: 유체 흐름은 유체의 중량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구조물 설계: 구조물 설계에는 구조물이 받는 중량을 고려해야 합니다.
침식 및 운반: 침식 및 운반은 유체의 중량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 수리수문학에서 중량은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중량의 정의, 사용 기호, 특성, 그리고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은 수리수문학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밀도와 중량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중량은 질량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밀도와 중량은 모두 수리수문학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두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수리수문학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3. 단위중량(=비중량)

3.1 정의

단위 부피당 물질의 중량을 의미, 물질이 얼마나 빽빽하게 채워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3.2 사용기호

일반적으로 γ (그리스 문자 감마)로 표시

 

3.3 특성

  • 단위: 단위중량의 단위는 N/m³ (뉴턴/세제곱미터)입니다.
  • 밀도 및 중력 가속도 변화: 단위중량은 밀도와 중력 가속도에 따라 변합니다. 밀도가 증가하거나 중력 가속도가 증가하면 단위중량도 증가합니다.
  • 물의 단위중량: 4℃의 순수한 물의 단위중량은 9810 N/m³입니다.

예시)


4. 비체적

4.1 정의

비체적단위 질량당 물질의 부피를 의미합니다. 즉, 물질이 얼마나 희게 채워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4.2 단위

비체적의 단위는 m³/kg , m³/t , c m³/g   

 

단위중량이 있는데 굳이 비체적을 쓰는 이유가 뭘까?

 

 

단위중량단위 부피당 물질의 중량을 나타냅니다. 즉, 물질이 얼마나 무겁고 빽빽하게 채워져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단위중량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유용합니다.

  • 유체 정압 계산: 유체 정압은 유체의 단위중량, 유체의 깊이에 의해 결정됩니다.
  • 부력 계산: 부력은 물체가 받는 단위중량에 의한 힘입니다. 부력은 물체의 단위중량과 물의 단위중량 차이에 의해 결정됩니다.
  • 구조물 설계: 구조물 설계에는 구조물이 받는 하중을 고려해야 합니다. 하중은 단위중량과 물체의 부피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비체적단위 질량당 물질의 부피를 나타냅니다. 즉, 물질이 얼마나 희게 채워져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비체적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유용합니다.

  • 유체 흐름: 유체 흐름은 유체의 비체적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비체적이 높을수록 유체 흐름은 더 쉽게 발생합니다.
  • 침식 및 운반: 침식 및 운반은 유체의 비체적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비체적이 높을수록 침식 및 운반이 더 쉽게 발생합니다.
  • 토양 수분: 토양 수분은 토양의 비체적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비체적이 높을수록 토양 수분 보유 능력이 높아집니다.

단위중량과 비체적은 서로 상호 보완적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위중량은 물질의 무게와 밀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비체적은 물질의 부피와 밀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두 개념을 함께 사용하면 물질의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강을 흐르는 물의 유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단위중량과 비체적 모두 필요합니다. 단위중량은 물의 무게를 나타내고, 비체적은 물의 부피를 나타냅니다. 두 정보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흐르는 물의 부피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728x90

댓글()

[건축기사] 건축물 완성 과정

728x90

1. 기획 단계

  • 건축 목적 및 의도 설정: 건축 계획은 건축주의 목적과 의도를 바탕으로 진행됩니다. 건축주는 건축을 통해 무엇을 이루고 싶은지 명확하게 정의해야 합니다.
  • 예산 설정: 건축 계획은 예산 범위 내에서 진행되어야 합니다. 건축주는 건축 계획에 필요한 예산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 기타 조건 파악: 건축 계획은 법규, 부지 조건, 주변 환경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해야 합니다. 건축주는 건축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조건을 파악하고 분석해야 합니다.

2. 계획 단계

  • 자료 수집 및 분석: 건축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해야 합니다. 건축 관련 법규, 부지 조건, 주변 환경, 건축 트렌드 등이 분석 대상입니다.
  • 건축 프로그램 작성: 건축 프로그램은 건축 공간의 기능, 규모, 배치 등을 정의하는 문서입니다. 건축 프로그램은 건축 계획의 기본 틀 역할을 합니다.
  • 기본 설계: 기본 설계는 건축물의 전체적인 형태, 공간 구성, 디자인 등을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기본 설계에서는 건축물의 개념을 확립하고, 주요 디자인 요소를 결정합니다.

3. 설계 단계

  • 실시 설계: 실시 설계는 기본 설계를 바탕으로 건축 도면을 작성하는 단계입니다. 실시 설계에서는 건축물의 구조, 설비, 마감재 등을 세부적으로 설계합니다.
  • 사업 승인: 건축 계획은 관련 법규에 따라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사업 승인 과정에서 건축 계획의 적합성이 검토됩니다.
  • 시공 계획 수립: 시공 계획은 건축 공사를 진행하기 위한 계획입니다. 시공 계획에는 공사 일정, 공사비, 시공 방법 등이 포함됩니다.

4. 시공 단계

  • 건축 공사: 건축 공사는 건축 계획을 실제로 구현하는 단계입니다. 건축 공사는 건축 설계도를 기반으로 진행됩니다.
  • 감독 및 점검: 건축 공사는 건축 설계도대로 진행되는지 감독하고 점검해야 합니다. 감독 및 점검을 통해 건축물의 품질을 확보합니다.

5. 축 계획 결정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 건축주의 요구: 건축 계획은 건축주의 요구를 최우선으로 충족해야 합니다.
  • 예산: 건축 계획은 예산 범위 내에서 진행되어야 합니다.
  • 법규: 건축 계획은 관련 법규를 준수해야 합니다.
  • 기술적 검증: 건축 계획은 기술적으로 검증되어야 합니다.
  • 환경 영향: 건축 계획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 사회적 책임: 건축 계획은 사회적 책임을 고려해야 합니다.
728x90

댓글()

토목기사 단기합격 방법

728x90

이  방법은 대충 1달 남았을때 쓰는 방법이다.

 

나에게 단기란 1달 이내이다.

 

주위에 보면 토목기사 1달, 3주 하고 합격한 사람들 많을거다.

 

그 사람들이 어떻게 공부했나 살펴보자

 

 

1. 여러분들은 시간이 없다.

 

뭔 말이냐고? 

 

인강들을 시간이 없다는거다. 

 

그럼 뭘해야 하느냐?

 

기출문제만 본다. 얼마나? 넉넉잡아 5개년 보자

 

그러면 총 15회 문제를 푼다 총 1800문제고 과목당 300문제를 푼다.

 

2. 공략과목을 정해야한다.

일반적으로 공략과목은

 

토질역학, 수리수문학, 상하수도 이정도로 정해진다. 

 

대부분 사람들이 응용역학, 측량학, 철콘을 어려워하는데

 

자 정해야한다

 

철콘을 딱 40점만 맞겠다. 그러면 한과목이 80점은 나와야한다.

 

아니면 한과목당 65점씩 더 맞거나

 

개인적으로 나는 토질역학, 수리수문학, 응용역학을 주과목으로 정하라고 하고싶다.

 

상하수도는 과락은 잘안뜨지만 고득점 맞는사람은? 잘못본거같다.

 

3. 기출만 줜내풀어야한다.

하루 2개년을 풀자. 그러면 30일기준이면 60회를 푸는데

 

그러면 연도별 5개년을 4번 풀고간다.

 

여기서 중요한점

 

문제를 풀다가 계산문제가 아니고

 

이론문제면

 

해설을 보고이해가 안가면 그냥 외워라.

 

이해하려고 하지마라(계산문제는 이해하고 풀어라.) 

 

객관식 시험은 원래 그런거다

 

이해하려고 하는순간 시험기간이 길어진다.

 

솔직히 기사는 3주로도 충분하다.

 

그런데 왜 사람들은 1달이상 공부를 할까

 

이론에 대해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그러니까 그냥 나믿고 이론을 보면서 이해하려 하지말고 그냥 외워라

 

2~3번 풀게되면 알아서 이해가 된다.

 

평균90점되서 합격하는것보다

 

평균60점 총점360점으로 합격하는게 더 짜릿하다.

 

5개년을 1회 풀고나면 대충 뭐가 자주나온다 무조건 몇점은 나온다라는게 감이 잡힌다.

 

그뒤로 풀때 약간어려운것들을 풀때 신경써서 풀어주면된다.

 

평균 60점으로 합격하자..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