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국가직7급 수리수문학 9~12번 풀이

728x90

9. 면적이 1.5ha인 어느 유역에서 대수층의 지하수위가 2m 하강하였음이 관측되었다. 이 대수층의 비산출률(specific yield) 4%로 평가되었다면 이 유역에서 방출된 물의 체적[m³]?

12

288

1,200

28,800

 

 

비산출률이라는 뜻이 처음볼 가능성이 높은데

 

별의미가 없다. 유효공극률이라는 뜻이고 

 

흙의 체적과 방출체적의 비이다

 

위의 풀이와 같이 풀면 된다.

 

재출제될 확률은 적어보인다.

 

10.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하천 수로에서 단위폭당 유량이 100m³/sec/m일 때 한계수심[m]? (, 중력가속도는 10m/sec²로 가정한다)

1

5

10

20

 

직사각형 한계수심 공식은 외우도록하자

 

마르고 닳도록 나온다

 

마르고 닳도록 나오는데 안외우면 어떠케된다?

 

그냥 재수 삼수 사수 가는거다

 

 

300x250

11. 도수 발생 전후에서 유지되는 역학적인 성질은?

비력

압력

비에너지

평균유속

 

도수 = 운동량 보존

 

도수는 발생 후에도 비력은 일정하다.

비력 = 정수압 + 운동량(동수압)

 

 

도수는 운동량 보존이다

 

비력이 운동량이라 보면 되는데.

 

도수 전후에 비력은 같다

 

하지만 운동량보존은 운동에너지 보존은 아니다

 

물리학을 열심히 공부했다면 알것이다. 

 

 

 

12. 개수로 흐름에서 한계수심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상류일 때의 수심

사류일 때의 수심

비에너지가 최소일 때의 수심

비에너지가 최대일 때의 수심

 

*한계수심

1.사류 상류의 경계

2.비력,비에너지 최소 수심

3.유량이 최소

 

한계수심은 아주 마르고 닳도록 나오니

 

그냥 외우도록하자 

 

왜? 라는 것을 생각하지말자

 

1초만에 나와야 정상이다.

 

 

728x90

댓글()

2014 국가직7급 수리수문학 5~8번 풀이

728x90

5. 직선원형관에서 유량이 Q이고 마찰손실계수(f)가 일정할 때, 마찰손실수두(hL)와 관경(D)과의 관계로 옳은 것은?

 

 

마찰손실수두 공식을 바로 이용했다가는 틀리기 좋은 문제이므로

 

아니 뭐이렇게 쉽게 내줘? 가 아니라

 

한두번 생각해봅시다.

 

6. 1차원 흐름의 유속을 u=2x²+sin(t)로 나타낼 수 있을 때, 이 흐름의 시간적, 공간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상류이면서 등류

비정상류이면서 등류

정상류이면서 부등류

비정상류이면서 부등류

 

정상류와 부등류의 정의를 이용하는 문제입니다.

300x250

 

7. 유역면적이 20km2이고 도달시간이 30분인 유역에서 10년 빈도 강우량을 고려하여 배수구조물을 설계하고자 한다. 강우강도식이 I=2500/(t+20) [mm/hr]이고 이 유역의 소유역별 유출계수가 다음과 같을 때, 합리식에 의한 10년 빈도 첨두홍수량[m³/sec]?

 

 

일단 첨두홍수량이라는 단어가 자주나오기에 개념을 살펴봅시다.

 

<보통 m³/sec의 단위로 나타낸다. 하천의 어떤 지점에서 발생된 최대유량을 그 지점에서의 첨두홍수량이라 할 수 있으나, 보통은 유역 출구에서의 최대 유출(유)량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유역면적이 적은 유역에서는 첨두홍수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합리식이 널리 사용된다. 그렇지 않은 유역에 대해서는 합성단위유량도 또는 더욱 복잡한 유출모형을 사용하여 첨두홍수량을 구할 수 있다. 치수목적의 수공시설물 중 비행장의 배수로, 도시우수관거, 도로암거, 주차장 배수시설의 크기 등은 첨두홍수량을 알아야 한다.>  -수자원공사 제공-

 

일단 합리식을 구하기 위해서는 유출계수를 알아야 하는데

 

면적별 유출계수가 다르므로 평균 유출계수를 구해야합니다

 

그후 합리식에 대입을 합니다.

 

 

8. 어떤 하천상에 댐을 건설하기 위하여 가물막이 댐을 임시로 설치하고자 한다. 가물막이 댐을 재현기간 10년 홍수량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할 때, 세 번째 해에 파괴될 확률[%]?

0.1

8.1

27.1

72.9

 

 

 

솔직히 식을 외워도 상관은 없지만

 

고등학생때 통계를 배웠다면

 

T가 무슨 의미인지만 안다면 아주 쉽게푸는 문제입니다.

 

 

728x90

댓글()

2019 국가직7급 수리수문학 17~20번 풀이

728x90

 

어려운 문제는 아닙니다 

 

쉬운문제입니다

 

생소한 문제이고 수면파에 대한 개념이 있어야합니다.

 

제일 어려웠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한계수심을 파악하고 단위폭당 유량으로 등류수심을 파악하고 수심의 위치를 알고 이것저것 알아야하기 떄문에 제일 어려웠습니다.

 

2019 국가직 7급 수리수문학 총평

역대 기출문제를 분석을 하고 자주 풀었다면 85점이상 받는것은 충분히 쉬웠던 시험이었고
언제나 그랬듯 기출문제는 배신하지 않으니 반복해서 풀고 암기 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댓글()

2007 국가직7급 토질역학 1~4번 해설

728x90

쉬운문제입니다 틀리면 안됩니다.

 

 

외우셔야 하는 문제입니다.

 

 

 

무난합니다. 

 

 

10초안에 푸셔야 합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