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국가직 7급 토질역학 1~5번 해설
7급 토목직 풀이/7급 토질역학 문제풀이2022. 1. 28. 00:17
728x90
광고 한번만 눌러주고 가소~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3.gif)
문 1. 그림과 같은 연직사면에서 평면 가상파괴면에 대한 안전율은? (단, N, T는 각각 파괴쐐기 무게에 의한 가상파괴면에 작용하는 수직력 및 활동력이며, 연직사면은 별도의 보강 없이도 자립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YHAuR/btrrOb2KMtp/Fre4JamSs6f4RUOSkRqZzK/img.png)
① 1.5 ② 2.0
③ 2.5 ④ 3.0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하, 어렵지 않다. 그러나 기사에서는 덜 나온다.
해설
※ 사면의 안정해석
활동면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가정한다
문 2. 비탈면 또는 굴착면의 안정성을 저감시키는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모든 요인은 영향범위 내에서 변화되는 것으로 고려한다)
① 비탈면 내 지하수위의 상승
② 지진발생에 따른 수평하중의 증가
③ 굴착 후 지반 내 발생된 부의 과잉간극수압(negative excess pore pressure)의 소산
④ 비탈면 내 모관흡수력 증대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상, 하나하나 선지를 검토해야하므로 쉽지는 않은 문제이다
해설
1. 비탈면 내 지하수위가 상승할 경우 유효응력이 감소하여 안정성이 낮아진다
2. 지진으로 수평하중 증가시 활동, 전도의 원인이 되어 안정성이 떨어진다.
3. 굴착후 지반 내 부(-)의 과잉간극수압이 소산시 유효응력이 낮아지고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 부의 과잉간극수압은 체적팽창(다일러턴시) 시 나타나게 된다
ex) 조밀한 모래, OC(과압밀점토)
4. 모관흡수력이 증가하면 유효응력이 증가한다
문 3. 모래치환법으로 현장밀도시험을 한 결과 원지반을 파낸 구멍의 부피는 2,000cm³이고 파낸 흙의 중량은 33N이며, 함수비는 10%였다. 이 흙의 간극비는? (단, 이 흙의 비중(Gs)은 2.70이고 물의 단위중량은 10kN/m³이다)
① 0.6 ② 0.7
③ 0.8 ④ 0.9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 계산하는 과정이 귀찮기에 중을 준다
해설
문 4. 동상(frost heav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실트질 지반보다 자갈지반에서 동상이 잘 일어난다.
② 아이스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물의 공급이 충분할수록 동상이 잘 일어난다.
③ 0도 이하 온도의 지속시간이 길수록 동상이 잘 일어난다.
④ 동상은 주로 지표 부근에서 잘 일어난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하, 기사에서도 마르고 닳도록 나오는 문제인데 틀리면 안된다.
해설
1. 영하온도가 지속될 수록
2. 충분한 물의 공급
3. 얼기 쉬운 흙(실트)
문 5. 지반재료의 강성(stiffness)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모든 지반재료의 강성은 응력경로에 무관하다.
② 사질토에서 구속응력의 증가는 지반 강성을 증가 시킨다.
③ 정규압밀점토의 강성은 변형률 증가와 함께 감소한다.
④ 수평퇴적지층의 경우 대체로 퇴적방향에 따라 강성이 달라지는 이방성특성을 나타낸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 기사에서는 안나온다고 보면 된다.
해설
힘을 주면 강성에 따라 변위가 일어나는 정도가 다른데,
응력(힘)에 따라 변위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응력경로와 무관하지는 않다.
해설이 고마웠다면 광고 하나 누르고 가자.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18.gif)
728x90
'7급 토목직 풀이 > 7급 토질역학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국가직 7급 토질역학 11~15번 해설 (0) | 2022.03.03 |
---|---|
2015년 국가직 7급 토질역학 6~10번 해설 (0) | 2022.02.28 |
2014년 국가직7급 토질역학 16~20번 해설 (0) | 2022.01.25 |
2014년 국가직7급 토질역학 11~15번 해설 (0) | 2022.01.24 |
2014년 국가직7급 토질역학 6~10번 해설 (0) | 2022.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