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직공무원시험에 해당하는 글 2

2010년 국가직 7급 토질역학 1~4번 해설

728x90

 


1. 사질토의 전단거동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느슨한 시료에서 전단변형이 일어나면 간극이 줄어들고 압축되면서 전체 부피가 감소하고 전단저항이 증가한다.

느슨한 시료는 최대강도와 잔류강도의 차이가 크지 않다.

시험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료의 부피 변화는 입자간의 상대운동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다.

④ 조밀한 시료는 잔류강도가 발현될 때까지 부피가 점점 감소한다.

 

<난이도 중>

1,2)

전단강도와 잔류변형의 그래프에서는 조밀한 모래는 가장 높은점을 찍고 한계 간극비로 수렴을하고

느슨한 모래는 점점 한계간극비로 수렴을 한다.

 

3)

입자간 상대운동에의해 마찰과 억눌림이 일어나는데

 

마찰의 종류에는 활동마찰과 회전마찰이 존재한다.

 

4)

조밀한 모래는 전단변형이 일어남에 따라 체적이 감소하다가 증가하게 된다.

그 이유는 조밀한 모래는 입자 간격이 좁아서 다른입자가 다른입자를 타고 넘어가는 현상이 일어나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데 "다일러턴시" 현상이라고 한다.

 

느슨한 모래는 입자간격이 넓으므로 전단변형이 일어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체적이 감소한다.

 

 


2. 사면의 안정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포화된 점토지반 절취시 가장 위험한 때는 절취 후 간극수압이 평형조건으로 회복했을 때이다.

흙 댐의 경우 착공에서 완공시까지 간극수압이 상승하므로 안전율이 감소한다.

포화된 점토지반 위에 제방을 성토하는 경우 가장 위험한 때는 완공 직후이다.

④ 흙 댐에서 수위 급강하시 상류측 사면보다 하류측 사면의 안전율 변화폭이 크다.

 

 

<난이도 상>

1) 점토 지반 절취시 안전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한다.

 * 일반적으로 가장 위험한 상태는 시공직후이다.

 

굴착 중 굴착 후
간극수압 감소 간극수압 회복(정수압상태)
안전율 증가 안전율 감소(굴착후 수위회복 때문)

 

 

2)

2)

흙댐은 착공부터 와나공까지 계속 흙을 쌓아올리기 때문에 중량의 상승으로 간극수압이 상승한다.

유효응력의 감소로 안전율이 감소하게 된다.

 

 

3) 압밀전의 흙 쌓기 N회  => 시공후 간극수압 최대

 

 

4)

상류 시공직후 수위 급강하(위험)
하류 시공직후 정상 침투

300x250

 

 

<난이도 하>

 


4. 말뚝기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말뚝기초의 선단이 상부의 연약층을 지나 견고한 층에 닿도록 타입하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부마찰력의 영향이 없어진다.

말뚝기초는 주로 상부구조물의 하중과 같은 하향력을 견디기 위해 설치하지만, 인장력과 같은 상향력에 저항하도록 설치하기도 한다.

말뚝기초의 주면마찰력을 산정하는 방법 가운데 β방법은 유효응력으로 얻은 강도정수를 가지고 마찰저항각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이다.

무리말뚝의 지지력은 단일말뚝의 지지력에 말뚝 개수를 곱한 값과 꼭 같지는 않다.

 

 

<난이도 중>

① 말뚝기초의 선단이 상부의 연약층을 지나 견고한 층에 닿도록 타입하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부마찰력의 영향이 가장 크다

 

그냥 대충 인장저항 하는것도 있다고 생각하자

 

선단 지지말뚝 + (주면)마찰말뚝 의 조합

 

 

α 방법 : 전응력 방법

β 방법 : 유효응력 방법

λ 방법 : 전응력 + 유효응력 조합방법

 

 

당연한 소리다.

말뚝이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있는데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겹쳐진다면

 

2개의 말뚝이라고 해서 2개의 말뚝효과를 내는것은 아니다.

 

그래서 나중에 지지력은 효율값을 곱해준다.

 

728x90

댓글()

2008 국가직7급 토질역학 1~4번 해설

728x90

1. 흙의 연경도(consistenc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소성지수는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차이로 정의된다.

주어진 점토의 액성한계와 소성한계는 교란도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애터버그 한계(Atterberg limit)는 사질토에 대한 흙의 분류기준으로 흔히 이용된다.

소성지수가 큰 흙은 일반적으로 점토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소성지수(PI) = 액성한계(WL-Wp) 로 정의됨

 

PI(소성지수) = 2um 점토 함유율 X A(활성도)

=> 소성지수가 커지면 점토 함유율이 높아진다.

 

하나의 점토는 액성한계와 소성한계는 고유한 값을 가지고 있기에 교란도와 상관없이 일정하다.

 


 

2. 흙의 다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일반적으로 입도분포가 양호한 흙의 최대건조밀도는 크고, 최적함수비는 작다.

영공기간극곡선은 다짐곡선과 교차할 수 없고, 항상 다짐곡선의 우측에만 위치한다.

모래는 다짐시에 낮은 함수비에서 간극수의 표면장력 때문에 건조밀도가 감소할 수 있다.

④ 유기질 성분이 증가할수록 흙의 최대건조밀도와 최적함수비는 감소한다.

 

 

 

1) 입도분포곡선에서 입도분포가양호할경우 입도분포곡선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데 그래프를 보면 최대건조밀도는 크고 최적함수비는 적은것을 볼수 있다.

 

2) 영공기간극곡선은 항상 다짐곡선 오른쪽에 위치한다.

 

3) 낮은 함수비 일때 간극수의 표면장력에 의해 Bulking(팽창현상)이 일어나서 건조밀도가 감소한다.

※ 함수비가 크면 표면장력이 생길수 없음.

 

4) 유기질 성분이 증가할수록 최대건조밀도는 감소하나 함수비는 증가한다.

 

유기질토는 갯벌에 있는 흙이랑 비슷하다 보면된다.


300x250

3. 지반내 응력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점하중이작용할경우지반내응력을산정하는Boussinesq 해는 탄성이론에 근거한다.

탄성지반에서 여러 가지 하중들이 지표에 작용하는 경우 반내의 응력은 각 하중에 의한 응력 증가량을 산정하여 더해줌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외부하중이 작용하지 않고 지표가 수평한 지반에는 전단응력이 0이다.

④ 흙의 압축성은 전응력이 지배하지만 전단특성은 유효응력이 지배한다.

 

1) 맞는소리임 그냥 맞다고 받아들이자 외우자.

 

 

2) 맞는소리다 여러 하중이 작용할 경우 각 하중에 대한 응력을 계산하여 더해주면 된다.

 

3) 외부하중이 작용하지 않을시 전단응력은 생길수 없다. 공식은 바로 위 그림을 보자

 

4) 흙의 압축성은 전응력과 유효응력 둘다 영향을 받는다. 

 

Bussinesq이론의 전제는

흙의 균질, 등방, 탄성 을 기본으로 깐다.


4. 도로 성토시 다져진 흙의 간극비가 0.5이고, 함수비가 10%이다. 흙입자의 비중이 2.50일 때, 공기함유율(air content) A[%]?

14.2

② 16.7

19.6

17.3

 

Aa = Va/V = (e-Se)/(1+e) = (e-wGs)/(1+e)

     = (0.5-2.5*0.1)/(1+0.5) = 1/6 = 16.6777%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