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국가직 7급 토질역학 1~4번 해설
문 1. 사질토의 전단거동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느슨한 시료에서 전단변형이 일어나면 간극이 줄어들고 압축되면서 전체 부피가 감소하고 전단저항이 증가한다.
② 느슨한 시료는 최대강도와 잔류강도의 차이가 크지 않다.
③ 시험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료의 부피 변화는 입자간의 상대운동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다.
④ 조밀한 시료는 잔류강도가 발현될 때까지 부피가 점점 감소한다.
<난이도 중>
1,2)
전단강도와 잔류변형의 그래프에서는 조밀한 모래는 가장 높은점을 찍고 한계 간극비로 수렴을하고
느슨한 모래는 점점 한계간극비로 수렴을 한다.
3)
입자간 상대운동에의해 마찰과 억눌림이 일어나는데
마찰의 종류에는 활동마찰과 회전마찰이 존재한다.
4)
조밀한 모래는 전단변형이 일어남에 따라 체적이 감소하다가 증가하게 된다.
그 이유는 조밀한 모래는 입자 간격이 좁아서 다른입자가 다른입자를 타고 넘어가는 현상이 일어나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데 "다일러턴시" 현상이라고 한다.
느슨한 모래는 입자간격이 넓으므로 전단변형이 일어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체적이 감소한다.
문 2. 사면의 안정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포화된 점토지반 절취시 가장 위험한 때는 절취 후 간극수압이 평형조건으로 회복했을 때이다.
② 흙 댐의 경우 착공에서 완공시까지 간극수압이 상승하므로 안전율이 감소한다.
③ 포화된 점토지반 위에 제방을 성토하는 경우 가장 위험한 때는 완공 직후이다.
④ 흙 댐에서 수위 급강하시 상류측 사면보다 하류측 사면의 안전율 변화폭이 크다.
<난이도 상>
1) 점토 지반 절취시 안전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한다.
* 일반적으로 가장 위험한 상태는 시공직후이다.
굴착 중 | 굴착 후 |
간극수압 감소 | 간극수압 회복(정수압상태) |
안전율 증가 | 안전율 감소(굴착후 수위회복 때문) |
2)
2)
흙댐은 착공부터 와나공까지 계속 흙을 쌓아올리기 때문에 중량의 상승으로 간극수압이 상승한다.
유효응력의 감소로 안전율이 감소하게 된다.
3) 압밀전의 흙 쌓기 N회 => 시공후 간극수압 최대
4)
상류 | 시공직후 | 수위 급강하(위험) |
하류 | 시공직후 | 정상 침투 |
<난이도 하>
문 4. 말뚝기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말뚝기초의 선단이 상부의 연약층을 지나 견고한 층에 닿도록 타입하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부마찰력의 영향이 없어진다.
② 말뚝기초는 주로 상부구조물의 하중과 같은 하향력을 견디기 위해 설치하지만, 인장력과 같은 상향력에 저항하도록 설치하기도 한다.
③ 말뚝기초의 주면마찰력을 산정하는 방법 가운데 β방법은 유효응력으로 얻은 강도정수를 가지고 마찰저항각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이다.
④ 무리말뚝의 지지력은 단일말뚝의 지지력에 말뚝 개수를 곱한 값과 꼭 같지는 않다.
<난이도 중>
① 말뚝기초의 선단이 상부의 연약층을 지나 견고한 층에 닿도록 타입하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부마찰력의 영향이 가장 크다
②
그냥 대충 인장저항 하는것도 있다고 생각하자
선단 지지말뚝 + (주면)마찰말뚝 의 조합
③
α 방법 : 전응력 방법
β 방법 : 유효응력 방법
λ 방법 : 전응력 + 유효응력 조합방법
④
당연한 소리다.
말뚝이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있는데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겹쳐진다면
2개의 말뚝이라고 해서 2개의 말뚝효과를 내는것은 아니다.
그래서 나중에 지지력은 효율값을 곱해준다.
'7급 토목직 풀이 > 7급 토질역학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년 국가직 7급 토질역학 9~12번 해설 (0) | 2021.11.01 |
---|---|
2010년 국가직 7급 토질역학 5~8번 해설 (0) | 2021.10.31 |
2009년 국가직7급 토질역학 17~20번 해설 (0) | 2021.09.23 |
2009 국가직7급 토질역학 13~16번 해설 (2) | 2021.09.22 |
2009 국가직7급 토질역학 9~12번 해설 (0) | 2021.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