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치환법에 해당하는 글 2

토목기사 필기 빈출문제(토질역학)-1

728x90

1. 유효응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항상 전응력보다는 작은 값이다.

    점토지반의 압밀에 관계되는 응력이다.

    건조한 지반에서는 전응력과 같은 값으로 본다.

    포화된 흙인 경우 전응력에서 간극수압을 뺀 값이다.

해설

1. 특별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에는 옳으나, 특정 조건 하에서는 잘못될 수 있습니다. 상향침투 같은 현상에서 간극수압이 음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유효응력은 전응력보다 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상황에 따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점토지반의 압밀과정에서 유효응력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압밀은 유효응력의 증가로 인해 흙 속의 물이 배출되고 흙이 압축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3. 건조한 지반에서는 간극수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전응력과 유효응력은 같은 값으로 간주됩니다.

 

4. 포화된 흙에서의 유효응력은 전응력에서 간극수압을 뺀 값으로 계산됩니다. 이는 유효응력을 정의하는 기본적인 방식이다.

 

2.포화상태에 있는 흙의 함수비가 40%이고, 비중이 2.60이다. 이 흙의 간극비는?

    0.65 0.065

    ③ 1.04 1.40

 

해설

로 부터

주어진 함수비는 40%이므로, 소수 형태로는 0.40입니다. 비중(G)은 2.60이고, 포화도(S)는 1입니다(완전 포화 상태).

 

e = 0.4 x 2.6 / 1 = 1.04

 

3. Coulomb토압에서 옹벽배면의 지표면 경사가 수평이고, 옹벽배면 벽체의 기울기가 연직인 벽체에서 옹벽과 뒤채움 흙 사이의 벽면마찰각(δ)을 무시할 경우, Coulomb토압과 Rankine토압의 크기를 비교할 때 옳은 것은?

    Rankine토압이 Coulomb토압 보다 크다.

    Coulomb토압이 Rankine토압 보다 크다.

    ③ Rankine토압과 Coulomb토압의 크기는 항상 같다.

    주동토압은 Rankine토압이 더 크고, 수동토압은 Coulomb토압이 더 크다.

 

해설

Rankine 토압 이론은 특정 조건(수평 지표면, 연직 벽, 벽면 마찰 무시) 하에서 지반의 스트레스 상태를 분석하여 토압을 계산합니다. 이 이론은 주어진 조건 하에서 최대 및 최소 토압 상태(주동 토압과 수동 토압)를 예측합니다.

 

Coulomb 토압 이론은 벽의 기울기, 지표면 경사, 벽면 마찰각 등 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 벽면 마찰각을 무시하고, 지표면 경사가 수평이며 벽이 연직이라는 조건에서 Coulomb 토압 이론은 Rankine 토압 이론과 동일한 조건에서 적용됩니다.

 

옹벽과 뒤채움 흙 사이의 벽면 마찰각(δ)을 무시하고, 옹벽 배면의 지표면 경사가 수평이며, 벽체가 연직일 경우, Coulomb 토압 이론과 Rankine 토압 이론은 같은 결과다.

 

4.포화된 점토지반에 성토하중으로 어느 정도 압밀된 후 급속한 파괴가 예상될 때, 이용해야 할 강도정수를 구하는 시험은?

    ① CU-test UU-test

    UC-test CD-test

 

해설

1. 흙 시료를 압밀 과정 없이(즉, Consolidation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배수 없이 전단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 시험은 배수 조건이 허용되지 않는 급속한 하중 조건이나 파괴 상황을 모사할 때 사용됩니다. 급속한 성토 또는 파괴 시나리오에서는 UU 시험을 통해 얻은 강도정수가 가장 적합

 

2. 흙 시료를 압밀 과정 없이(즉, Consolidation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배수 없이 전단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 시험은 배수 조건이 허용되지 않는 급속한 하중 조건이나 파괴 상황을 모사할 때 사용됩니다. 급속한 성토 또는 파괴 시나리오에서는 UU 시험을 통해 얻은 강도정수가 가장 적합

 

3. 포화된 시료가 아닌, 일반적으로 점토가 아닌 흙에 대해 사용되는 간단한 압축 강도 시험입니다. 이 시험은 측면에서의 배수나 압력을 허용하지 않으며, 시료의 단순 압축 강도를 측정

 

4. 흙 시료를 먼저 압밀한 다음, 배수 조건 하에서 천천히 전단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 시험은 장기간에 걸친 하중 조건, 즉 배수가 가능한 상태에서 흙이 변형될 때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

 

5. 현장 도로 토공에서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 결과 흙을 파낸 구멍의 체적과 파낸 흙의 질량은 각각 1800cm3, 3950g이었다. 이 흙의 함수비는 11.2%이고, 흙의 비중은 2.65이다. 실내시험으로부터 구한 최대건조밀도가 2.05g/cm³일 때 다짐도는?

    92% 94%

    ③ 96% 98%

 

해설

흙의 습윤단위중량 = 파낸 흙의 질량 / 흙을 파낸 구멍의 체적 = 3950g / 1800cm³ = 2.2g/cm³

흙의 함수비 = 11.2% = 0.112

흙의 건조단위중량 = 습윤단위중량 / (1 + 함수비) = 2.2g/cm³ / (1 + 0.112) = 1.98g/cm³

 

다짐도 = 현장 건조단위중량 / 최대건조단위중량 = 1.98g/cm³ / 2.05g/cm³ = 0.966

728x90

댓글()

2015년 국가직 7급 토질역학 1~5번 해설

728x90

 

광고 한번만 눌러주고 가소~


1. 그림과 같은 연직사면에서 평면 가상파괴면에 대한 안전율은? (, N, T는 각각 파괴쐐기 무게에 의한 가상파괴면에 작용하는 수직력 및 활동력이며, 연직사면은 별도의 보강 없이도 자립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1.5 2.0

2.5 3.0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하, 어렵지 않다. 그러나 기사에서는 덜 나온다.

해설

 

※ 사면의 안정해석

활동면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가정한다


2. 비탈면 또는 굴착면의 안정성을 저감시키는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모든 요인은 영향범위 내에서 변화되는 것으로 고려한다)

비탈면 내 지하수위의 상승
지진발생에 따른 수평하중의 증가
굴착 후 지반 내 발생된 부의 과잉간극수압(negative excess pore pressure)의 소산
④ 비탈면 내 모관흡수력 증대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상,  하나하나 선지를 검토해야하므로 쉽지는 않은 문제이다

해설

 

 

1. 비탈면 내 지하수위가 상승할 경우 유효응력이 감소하여 안정성이 낮아진다

2. 지진으로 수평하중 증가시  활동, 전도의 원인이 되어 안정성이 떨어진다.

3. 굴착후 지반 내 부(-)의 과잉간극수압이 소산시 유효응력이 낮아지고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 부의 과잉간극수압은 체적팽창(다일러턴시) 시 나타나게 된다
 ex) 조밀한 모래, OC(과압밀점토)

4. 모관흡수력이 증가하면 유효응력이 증가한다


3. 모래치환법으로 현장밀도시험을 한 결과 원지반을 파낸 구멍의 부피는 2,000cm³이고 파낸 흙의 중량은 33N이며, 함수비는 10%였다. 이 흙의 간극비는? (, 이 흙의 비중(Gs)2.70이고 물의 단위중량은 10kN/m³이다)

0.6 0.7

③ 0.8 0.9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 계산하는 과정이 귀찮기에 중을 준다

해설


4. 동상(frost heav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실트질 지반보다 자갈지반에서 동상이 잘 일어난다.
아이스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물의 공급이 충분할수록 동상이 잘 일어난다.
0도 이하 온도의 지속시간이 길수록 동상이 잘 일어난다.
동상은 주로 지표 부근에서 잘 일어난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하,  기사에서도 마르고 닳도록 나오는 문제인데 틀리면 안된다.

해설

1. 영하온도가 지속될 수록
2. 충분한 물의 공급
3. 얼기 쉬운 흙(실트)

 


5. 지반재료의 강성(stiffness)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모든 지반재료의 강성은 응력경로에 무관하다.
사질토에서 구속응력의 증가는 지반 강성을 증가 시킨다.
정규압밀점토의 강성은 변형률 증가와 함께 감소한다.
수평퇴적지층의 경우 대체로 퇴적방향에 따라 강성이 달라지는 이방성특성을 나타낸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  기사에서는 안나온다고 보면 된다. 

해설

힘을 주면 강성에 따라 변위가 일어나는 정도가 다른데,

응력(힘)에 따라 변위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응력경로와 무관하지는 않다.

 

 

해설이 고마웠다면 광고 하나 누르고 가자.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