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국가직7급 토질역학 5~8번 해설

728x90

 

 

5. 그림과 같이 단면적 A 인 튜브 속의 흙을 통하여 물의 흐름이 발생할 때,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k는 흙의 투수계수이다)

 

A의 전수두와 점 B의 전수두는 같다.

B에서 점 C까지 손실수두는 0.5m이다.

C의 압력수두는 1.5m이다.

단위 시간당 유출유량은 0.5kA 이다.

 

1) A의 전수두와 B의 전수두는 흙을 지나지않았으므로 전수두 손실이 없다.

2) 면적과 흙이 변하지 않았으므로 1.5m당 수두손실은 0.5m이다

3) 압력수두 Ht(c) =1.5m ,He(c)=0m  => Hp(c) = Ht(c)-He(c)

4) 단위시간당 유출량은 Q=kiA = K x 1/3 x A이다

 

 

6. 그림과 같이 콘크리트 댐 아래 투수지반에 대한 유선망을 작도하였다. A점의 간극수압[tf/m²]?

12.2

13.2

14.2

15.2

 

μ= Hp x γ

Ht(A) = 4 x 12/15 = 3.2m

He(A) = -1 -(9) = -10m

Hp(A) = Ht(A) - He(A) = 3.2 - (-10) = 13.2m

 

 

300x250

 

7. 일면배수 상태인 10m 두께의 점토층이 지표면에서 무한히 넓게 등분포 상재하중을 받아 1년 동안 12cm 침하하였다. 점토층이 90% 압밀도에 도달할 때, 침하량[cm]?

(, 점토층의 압밀계수는 19.7/yr이다)

12.3

13.7

21.6

24.5

 

t(압밀시간) = (Tv x Hd²) / Cv

Tv = (Cv x t) / Hd² = 19.7 x 1 /100 =0.197 => 50%압밀

 

압밀도

U = △Ht(현재) / △Ht(전체)

90%압밀시 침하량

△H(90) = 12 x (9/5) = 21.6cm

 

 

8. 그림과 같은 지층의 지표면에 5tf/m²의 상재하중이 무한히 넓게 작용한다. 점토층 내 A점에서 상재하중 재하 후 피에조미터내 수위 상승고가 그림과 같이 2.5m일 때, 다음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 GWT는 지하수위를 의미한다)

A점에서 압밀도는 50%이다.

점토층의 평균압밀도는 50%보다 크다.

A점에서 상재하중에 의하여 증가된 연직 유효응력은 2.5tf/m²이다.

④ 점토층에서 현재까지 발생된 침하량은 최종 1차압밀침하량의 50%이다.

 

*압밀의 기본가정(이건 일단 외워라)

1. 균질

2. 포화

3. 비압축성

4. Darcy 만족

5. 일방향 압밀

6. 일차원흐름

7. t일정

 

1) μ=5tf/m², u=γ x h  = 1 x 2.5 = 2.5tf/m²

 U =  (μi-μ) / μi x 100 = (5-2.5)/5 x 100 = 50%

 

2) 평균압밀도 = 소산면적 / 전체면적 인데

Ua = 2.5tf/m² , μ=5tf/m² 이므로 평균압밀도는 50%보다 크다

=> 소산면적이 현재 과잉간극수압면적보다 크므로 50%보다 크다.

 

3) 5tf/m²의 압력이 가해지고 있으나 피에조미터상에는 2.5m가 올라와있으므로

현재 상재하중에 의하여 증가된 연직 유효응력은 2.5tf/m² dlek.

 

4) 전체 평균압밀도는 50%를 넘어가므로 최종 압밀침하량의 50%가 넘어간다.

 

 

 

728x90

댓글()

토목기사 단기합격 방법

728x90

이  방법은 대충 1달 남았을때 쓰는 방법이다.

 

나에게 단기란 1달 이내이다.

 

주위에 보면 토목기사 1달, 3주 하고 합격한 사람들 많을거다.

 

그 사람들이 어떻게 공부했나 살펴보자

 

 

1. 여러분들은 시간이 없다.

 

뭔 말이냐고? 

 

인강들을 시간이 없다는거다. 

 

그럼 뭘해야 하느냐?

 

기출문제만 본다. 얼마나? 넉넉잡아 5개년 보자

 

그러면 총 15회 문제를 푼다 총 1800문제고 과목당 300문제를 푼다.

 

2. 공략과목을 정해야한다.

일반적으로 공략과목은

 

토질역학, 수리수문학, 상하수도 이정도로 정해진다. 

 

대부분 사람들이 응용역학, 측량학, 철콘을 어려워하는데

 

자 정해야한다

 

철콘을 딱 40점만 맞겠다. 그러면 한과목이 80점은 나와야한다.

 

아니면 한과목당 65점씩 더 맞거나

 

개인적으로 나는 토질역학, 수리수문학, 응용역학을 주과목으로 정하라고 하고싶다.

 

상하수도는 과락은 잘안뜨지만 고득점 맞는사람은? 잘못본거같다.

 

3. 기출만 줜내풀어야한다.

하루 2개년을 풀자. 그러면 30일기준이면 60회를 푸는데

 

그러면 연도별 5개년을 4번 풀고간다.

 

여기서 중요한점

 

문제를 풀다가 계산문제가 아니고

 

이론문제면

 

해설을 보고이해가 안가면 그냥 외워라.

 

이해하려고 하지마라(계산문제는 이해하고 풀어라.) 

 

객관식 시험은 원래 그런거다

 

이해하려고 하는순간 시험기간이 길어진다.

 

솔직히 기사는 3주로도 충분하다.

 

그런데 왜 사람들은 1달이상 공부를 할까

 

이론에 대해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그러니까 그냥 나믿고 이론을 보면서 이해하려 하지말고 그냥 외워라

 

2~3번 풀게되면 알아서 이해가 된다.

 

평균90점되서 합격하는것보다

 

평균60점 총점360점으로 합격하는게 더 짜릿하다.

 

5개년을 1회 풀고나면 대충 뭐가 자주나온다 무조건 몇점은 나온다라는게 감이 잡힌다.

 

그뒤로 풀때 약간어려운것들을 풀때 신경써서 풀어주면된다.

 

평균 60점으로 합격하자..

 

 

728x90

댓글()

[토질 및 기초]흙의 동상현상

기술사|2021. 8. 10. 21:09
728x90

□ 정의

동상이란 0℃이하의 기온에 장시간 노출된 흙의 간극수가 얼어 토사 내 빙정(ice lens)이 형성되고, 계 속적으로 수분을 흡수하여 체적이 팽창되는 현상으로, 동토지반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대표적인 공 학적 특성

 

동상이 일어나는 조건

 ○ 동상을 받기 쉬운 흙(실트질 또는 수분이 많은 흙)

 ○ 0℃ 이하의 온도 지속시간이 긴 경우

 ○ ice lens*를 형성하기 위한 물의 공급이 충분할것

* 동결선 위의 물이 얼어서 인접한 간극 속의 물을 빨아들여서 결정이 커지는것이 반복하여 생기는 얼음

 

□ 동결심도

0℃이하의 온도가 계속될 경우 지표면 아래 0℃인 선이 존재하는데, 이것을 동결선(Frost Line)이라 하고 

지표면에서 동결선까지의 깊이를 동결심도라고 한다.

F=영하 온도 X 지속시간(Day) , C=정수(3~5)이다.

 

 

□동상 방지대책

 ○ 배수구를 설치하여 지하수위 낮춤

 ○ 동결심도보다 위에 있는 흙을 조립토로 치환하여 모관수의 상승을 방지한다.

 ○ 지표의 흙을 화학약품(염화칼슘,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등)으로 처리하여 동결온도를 낮춘다.

 ○ 지하수위보다 높은 곳에 동결심도보다 위에 있는 흙을 동결하기 어려운 재료로 치환한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