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국가직7급 토질역학 17~20번 해설

728x90

17. 어떤 흙의 4번체와 200번체 통과율이 각각 80%30%이고, 액성한계는 25%, 소성한계가 10%일 때 이 흙을 통일분류법으로 분류하면?

SM

SC

GM

GC

 

<난이도 중상>

 

일단 너무 얕보다가 틀리는 문제이기에 중상을 줬다.

 

단계를 거쳐야한다

  1. 통과중량 백분율  F#200 = 30% <50 % ⇒ 조립토 / 세립토
  2. F#4 = 80% > 50% ⇒ 자갈 / 모래 
  3. 제 2문제 M / L 판정

 

A선 = 0.73(LL-20) = 0.73(25-20)=3.65

U선 = 0.9(LL-8) = 15.3

 

소성한계는 10% 

 

15.3과 3.65 사이에 있다

 

사이에 있으면 C이므로

 

정답은 SC

 


 

<난이도 하>

 

그냥 마르고 닳도록 나오고 기사에서도 나오는 문제이므로 난이도는 하

 

 

300x250

19. 그림과 같은 지반의 지표면에 11t/m²의 등분포하중이 무한히 넓은 면적에 작용할 때, 점토층의 1차 압밀침하량[cm]?

(, 점토층은 정규압밀점토이며, log20.3, log30.5, log50.7로 간주한다)

 

30

35

40

④ 45

 

<난이도 중>

솔직히 쉽긴합니다.

 


 

<난이도 하>

개꽁짜 문제입니다. 틀리면 안됩니다

 

※꿀팁

토압분포도를 그려보면 이렇게나오는데

 

삼각형 사각형 그려서 도심찾지말고..

 

사다리꼴 도심공식 기억하면된다

 

이상하게 구하는 흑우 읍제?

 

728x90

댓글()

2009 국가직7급 토질역학 1~4번 해설

728x90

 

 

정답은 2번

 

1) 맞는 말이다. 전단강도란 파괴가능면에서 전단에 저항할 수 있는 최대 저항력이다.

2) 개소리다. CU시험에서 파괴포락선은 최대전단응력점에 접하지 않는다. 그림 2)를 보면 최대저항력보다 작은곳에 접한다.(기하학적으로 판단하는게 쉽다)

 

3) 그림을 봐라

4) 직접전단시험은 파괴면을 임의로 정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파괴시키는 삼축압축시험에서 얻은 값보다 크다.

 


2. 그림 A와 같은 무한 비탈면에 많은 강우가 내려 비탈면의 상태가 그림 B와 같이 바뀌었다. 그림 B의 비탈면 안전율에 대한 그림 A의 비탈면 안전율의 비(그림 A의 안전율/그림 B의 안전율)?

(, 비탈면의 파괴는 암반과 모래사이에서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1.4

1.6

1.8

④ 2.0

 

 


3. 흙댐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흙댐 완공 후 물을 채우기 시작하면 상류 측 사면의 전단응력은 증가한다.

흙댐 완공 후 물을 채우기 시작하면 상류 측 사면의 간극수압은 증가한다.

흙댐 완공 후 물을 채우기 시작하면 하류 측 사면의 전단응력은 거의 일정하거나 약간 증가한다.

흙댐 완공 후 물을 채우기 시작하면 하류 측 사면의 간극수압은 증가한다.

300x250

 

 

상류측 물을 채우기 시작하면 간극수압이 증가하므로 전단응력이 감소하게 된다.


4. 얕은 기초에 대한 Terzaghi의 극한지지력 공식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기초의 근입깊이와 폭이 클수록 지지력도 커진다.

지지력계수는 내부마찰각의 함수이다.

기초지반이 지하수에 의하여 포화되면 지지력은 감소한다.

 

정답 3번

 

3번이  정말 많이하는 실수이다 여러분은 실수해서 떨어지지말자

 

 

이번해설은 발로 작성했다..

 

어쩔수없다 내가 요즘 일에 너무 힘들다...

 

일이좀 줄어들면 더 열심히 해보겠다..

728x90

댓글()

2008 국가직7급 토질역학 5~8번 해설

728x90

 

 

5. 그림과 같이 단면적 A 인 튜브 속의 흙을 통하여 물의 흐름이 발생할 때,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k는 흙의 투수계수이다)

 

A의 전수두와 점 B의 전수두는 같다.

B에서 점 C까지 손실수두는 0.5m이다.

C의 압력수두는 1.5m이다.

단위 시간당 유출유량은 0.5kA 이다.

 

1) A의 전수두와 B의 전수두는 흙을 지나지않았으므로 전수두 손실이 없다.

2) 면적과 흙이 변하지 않았으므로 1.5m당 수두손실은 0.5m이다

3) 압력수두 Ht(c) =1.5m ,He(c)=0m  => Hp(c) = Ht(c)-He(c)

4) 단위시간당 유출량은 Q=kiA = K x 1/3 x A이다

 

 

6. 그림과 같이 콘크리트 댐 아래 투수지반에 대한 유선망을 작도하였다. A점의 간극수압[tf/m²]?

12.2

13.2

14.2

15.2

 

μ= Hp x γ

Ht(A) = 4 x 12/15 = 3.2m

He(A) = -1 -(9) = -10m

Hp(A) = Ht(A) - He(A) = 3.2 - (-10) = 13.2m

 

 

300x250

 

7. 일면배수 상태인 10m 두께의 점토층이 지표면에서 무한히 넓게 등분포 상재하중을 받아 1년 동안 12cm 침하하였다. 점토층이 90% 압밀도에 도달할 때, 침하량[cm]?

(, 점토층의 압밀계수는 19.7/yr이다)

12.3

13.7

21.6

24.5

 

t(압밀시간) = (Tv x Hd²) / Cv

Tv = (Cv x t) / Hd² = 19.7 x 1 /100 =0.197 => 50%압밀

 

압밀도

U = △Ht(현재) / △Ht(전체)

90%압밀시 침하량

△H(90) = 12 x (9/5) = 21.6cm

 

 

8. 그림과 같은 지층의 지표면에 5tf/m²의 상재하중이 무한히 넓게 작용한다. 점토층 내 A점에서 상재하중 재하 후 피에조미터내 수위 상승고가 그림과 같이 2.5m일 때, 다음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 GWT는 지하수위를 의미한다)

A점에서 압밀도는 50%이다.

점토층의 평균압밀도는 50%보다 크다.

A점에서 상재하중에 의하여 증가된 연직 유효응력은 2.5tf/m²이다.

④ 점토층에서 현재까지 발생된 침하량은 최종 1차압밀침하량의 50%이다.

 

*압밀의 기본가정(이건 일단 외워라)

1. 균질

2. 포화

3. 비압축성

4. Darcy 만족

5. 일방향 압밀

6. 일차원흐름

7. t일정

 

1) μ=5tf/m², u=γ x h  = 1 x 2.5 = 2.5tf/m²

 U =  (μi-μ) / μi x 100 = (5-2.5)/5 x 100 = 50%

 

2) 평균압밀도 = 소산면적 / 전체면적 인데

Ua = 2.5tf/m² , μ=5tf/m² 이므로 평균압밀도는 50%보다 크다

=> 소산면적이 현재 과잉간극수압면적보다 크므로 50%보다 크다.

 

3) 5tf/m²의 압력이 가해지고 있으나 피에조미터상에는 2.5m가 올라와있으므로

현재 상재하중에 의하여 증가된 연직 유효응력은 2.5tf/m² dlek.

 

4) 전체 평균압밀도는 50%를 넘어가므로 최종 압밀침하량의 50%가 넘어간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