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합격수기 탐구(국어)

728x90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공무원 합격수기를 탐구해보자..

 

왜 탐구하냐면 3000명의 합격생이 있다면 모든 합격생의 공부방법이 같을수는 없다.

 

자신에게 맞는 공부방법을 쏙쏙 골라서 실천을 하고 내 의견도 들어보자.

 

필자는 7급 4회(지7 2회, 국7 1회, 군7 1회) 9급 2회를 합격해본 사람이다..

 

직렬이 달라도 필자의 눈을 믿자..

 

 


직렬 : 일행직

 

요약 : 나 대충 2관왕함(국가직, 지방직)

 


국어

<문학, 비문학>

기본강의는 이해보다 진도 빼는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이해가 안되도 진도를 먼저 뺐습니다. 

→ 아주 훌륭하다 이해한다고 진도를 안빼면 대부분 공시생의 구석기 마스터에서 벗어날 수 있다.

 

기본서 옆에 있는 기본 문제만 풀면서 진도를 빨리 뺐습니다.

→ 훌륭

 

기본서 강의는 1권만 들었고 문학부터는 듣지 않았습니다. 문학은 수능때도 공부를 많이 해서 안 들어도 된다고 생각했었는데, 생각보다 문학을 많이 틀려서 재시때는 문학강의도 들었습니다

→ 문학은 인강을 안들어도 되지만 무조건 들어야한다 생각하는건 고전문학 고전문학은 진짜 시대별로 쪼개고 그 시대에 맞는 주제 외우고 이러면 금방 성적이 오름

 

기본강의가 끝나고 바로 기출을 풀었습니다. 해설이 좋아서 강의는 수강하지 않았습니다. 모든 문제집은 문제집에 풀지 않고 연습장에 풀어서 기출문제집은 재시때까지 포함해서 10회독은 한 것 같습니다. 문제를 푼다기보다 선지 하나하나를 아는지 모르는지로 체크해서 표시한 후 회독했습니다.

→  이 부분을 모두 정독해라... 진짜 합격에 가장중요한점을 다 담았다.

 

수능문제집 예비매 3비/예비매3문 비문학과 문학을 이 문제집으로 보충하려고 혼자 풀었는데, 공시랑 너무 안맞아서 쓸모없 었습니다. 동형은 실강생들 점수 표본이 나와있어서 제 성적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매 3비는 나도 비추천한다. 하지만 내가 괜찮다 생각하는건 psat 언어논리 정도는 괜찮다. 하지만 무조건 공시에 모든 기출을 다 풀고 할것.

 

 

* 한자

인강 듣다가 한 번 강의 듣고 혼자서 회독하다가 중도 포기(한자는 재시부터 시작. 한자성어는 읽을 수 있고 뜻을 정확히 외웠고 두글자 한자는 기본서에 있던 한자만 눈에 바르는 식으로 회독했습니다. 쓰면서 외우거나 필사적으로 외우진 않았습니다.)

→ 낫 배드 한자는 사자성어 일단 먼저해야함. 필수 약 240개 정도 외우고 왜냐하면 사자성어는 대충 두개만 알아도 의미가 떠오른다. 그리고 외울때 너무 FM식으로 의미를 외우지 말자 

예로들면 권토중래를 뭐 모래바람 일으키며 돌아오니 이렇게 외우지말고 응 개떡상 이런식으로... 공부를 조금이나마 재미있게해보자.

 

* 문법

기본강의로는 문법이 커버가 안되서 문법강의를 발췌해서 수강했습니다. 여기서 문법 이해도가 많이 올라 갔습니다. 하프를 매일 풀고 들었습니다. 문법은 헷갈리는게 많아서 도움이 많이 되었는데 문학이나 비문학은 너무 쉬워서 도움이 안되었습니다. 재시부터는 문법은 다 맞는데 문학, 비문학이 문제라서 초시때 안들었던 기본/기출/문학강의를 수강했습니다. 그리고 꾸준히 회독했습니다

→ 나쁘지 않은 방법, 그러나 의문가는점은 기본강의로 문법이 커버안된다는 것은 조금 이상하다느낌.

기출문제를 몇번씩 풀다보면 이해 안가는 것은 자연스럽게 외우는걸 추구하는 편이나

정말 외워지지 않는다면 강의를 발췌해서 수강하는것은 좋은방법이라 생각

 


 

 

728x90

댓글()

2009 국가직7급 토질역학 5~8번 해설

728x90

 

 

 

정답은 1번

 

<난이도 하>

 

당장 그림만 볼때도 쉬운문제다

 

저 A에 유효응력의 변화는 생각해볼필요가 있는데

 

A가 얼마나 깊이 뭍혀있는지 중요한게 아니다.

 

A위에 있는점에서 수위가 얼마나 변했는지만 중요할뿐 다른 깊이 이런것들은 노상관이다.


 

6. 그림과 같이 연약지반 상에 원주(말뚝 둘레)1.0m, 길이가 18m 콘크리트 말뚝을 설치하였다. 말뚝 시공 후 연약지반의 침하로 인한 부주면마찰에 의해 단위 면적당 주면마찰력 분포가 아래 그림과 같이 상향() 1.0t/m²에서 하향() 1.0t/m²으로 변화할 경우 말뚝의 선단에 작용하는 하중[ton]?

 

26.5

30.0

③ 34.5

39.0

 

 

300x250

<난이도 중상>

 

그림을 보자마자 헷갈릴 수도 있다

 

(-)가 되어있는 부분은 부마찰력이 작용하고 있고 (+)부분은 정마찰로 위로 올려내는 힘이다.

 

그래서 결국 계산해보면

 

말뚝에 가해지는 힘 30t과

 

저기 (-) 부마찰력 면적과 (+) 면적을 빼면 되는데

 

면적을 빼면 그냥 윗변 3과 밑변 6, 높이 1의 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하는 것과 같다.

 

그 면적과 말뚝의 둘레를 곱하면 힘이 나오는데

 

그러면 결국 34.5t이다 쉽지?

 

 


7. 그림과 같은 수중에 잠긴 지반에서 aa면에 작용하는 유효응력[t/m²]?(, 흙의 수중단위중량은 1.0t/m³이다)

 

0.5

② 0.9

1.5

1.9

 

 

<난이도 중>

 

웅 이게 왜 중이지 생각하겠지만

 

여러분들이 정말 자칫하다간 망할수 있는 것은

 

상향침투가 발생하면 유효응력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왜 인지는 알아서 생각해봐..

 

 


100

57

109

④ 59

 

 

* 줄기초 = 연속기초 = 띠기초

 

이것만 알면 딱히 틀릴일이 없다.

그리고 중요한것은

 

완전 포화된 점토는 마찰각이 0이라는 것만 알면 게임 끝났다 솔직히 30초안에 풀만하다.

 

728x90

댓글()

2008 국가직7급 토질역학 5~8번 해설

728x90

 

 

5. 그림과 같이 단면적 A 인 튜브 속의 흙을 통하여 물의 흐름이 발생할 때,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k는 흙의 투수계수이다)

 

A의 전수두와 점 B의 전수두는 같다.

B에서 점 C까지 손실수두는 0.5m이다.

C의 압력수두는 1.5m이다.

단위 시간당 유출유량은 0.5kA 이다.

 

1) A의 전수두와 B의 전수두는 흙을 지나지않았으므로 전수두 손실이 없다.

2) 면적과 흙이 변하지 않았으므로 1.5m당 수두손실은 0.5m이다

3) 압력수두 Ht(c) =1.5m ,He(c)=0m  => Hp(c) = Ht(c)-He(c)

4) 단위시간당 유출량은 Q=kiA = K x 1/3 x A이다

 

 

6. 그림과 같이 콘크리트 댐 아래 투수지반에 대한 유선망을 작도하였다. A점의 간극수압[tf/m²]?

12.2

13.2

14.2

15.2

 

μ= Hp x γ

Ht(A) = 4 x 12/15 = 3.2m

He(A) = -1 -(9) = -10m

Hp(A) = Ht(A) - He(A) = 3.2 - (-10) = 13.2m

 

 

300x250

 

7. 일면배수 상태인 10m 두께의 점토층이 지표면에서 무한히 넓게 등분포 상재하중을 받아 1년 동안 12cm 침하하였다. 점토층이 90% 압밀도에 도달할 때, 침하량[cm]?

(, 점토층의 압밀계수는 19.7/yr이다)

12.3

13.7

21.6

24.5

 

t(압밀시간) = (Tv x Hd²) / Cv

Tv = (Cv x t) / Hd² = 19.7 x 1 /100 =0.197 => 50%압밀

 

압밀도

U = △Ht(현재) / △Ht(전체)

90%압밀시 침하량

△H(90) = 12 x (9/5) = 21.6cm

 

 

8. 그림과 같은 지층의 지표면에 5tf/m²의 상재하중이 무한히 넓게 작용한다. 점토층 내 A점에서 상재하중 재하 후 피에조미터내 수위 상승고가 그림과 같이 2.5m일 때, 다음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 GWT는 지하수위를 의미한다)

A점에서 압밀도는 50%이다.

점토층의 평균압밀도는 50%보다 크다.

A점에서 상재하중에 의하여 증가된 연직 유효응력은 2.5tf/m²이다.

④ 점토층에서 현재까지 발생된 침하량은 최종 1차압밀침하량의 50%이다.

 

*압밀의 기본가정(이건 일단 외워라)

1. 균질

2. 포화

3. 비압축성

4. Darcy 만족

5. 일방향 압밀

6. 일차원흐름

7. t일정

 

1) μ=5tf/m², u=γ x h  = 1 x 2.5 = 2.5tf/m²

 U =  (μi-μ) / μi x 100 = (5-2.5)/5 x 100 = 50%

 

2) 평균압밀도 = 소산면적 / 전체면적 인데

Ua = 2.5tf/m² , μ=5tf/m² 이므로 평균압밀도는 50%보다 크다

=> 소산면적이 현재 과잉간극수압면적보다 크므로 50%보다 크다.

 

3) 5tf/m²의 압력이 가해지고 있으나 피에조미터상에는 2.5m가 올라와있으므로

현재 상재하중에 의하여 증가된 연직 유효응력은 2.5tf/m² dlek.

 

4) 전체 평균압밀도는 50%를 넘어가므로 최종 압밀침하량의 50%가 넘어간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