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국가직7급 토질역학 16~20번 해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하, 기사에서도 나오는 문제이므로 틀리면 안되는 문제이다.
해설
문 17. 그림과 같이 배면이 사질토로 채워진 중력식 옹벽의 활동에 대한 안전율은?
(단, Rankine 토압이론을 사용하고, 주동토압계수는 0.3, 옹벽 저면과 지반과의 마찰각은 30°, 흙의 단위중량은 20kN/m³,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25kN/m³, cos30°=0.86이다)

① 1.45
② 1.93
③ 2.42
④ 4.83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 문제자체는 어렵지 않으나 선택지를 보니 숫자가 더럽다 이런것은 바로 넘기고 나중에 푸는것이 좋다.
해설
문 18. 그림과 같이 유한사면 위에 연속구조물이 위치하는 경우 사면의 안전율은?
(단, 가상파괴면 원호의 길이는 15m, 흙의 비배수전단강도는 100kPa이고, 모멘트평형법을 사용한다)
① 1.9 ② 1.7
③ 1.5 ④ 1.1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 기사에서도 나오는 문제이고 숫자도 깔끔한 편이다.
해설
문 19. 다음 그림과 같이 호수바닥 아래 지반(A지점)을 관통하는 지하통로를 설계하려 한다. 바닥면으로부터의 수위가 5m일 때(Case 1)와 물이 불어서 10m로 증가할 때(Case 2) A지점에서의 유효수직응력[kN/m²]은?
(단, 호수바닥 아래 지반에서는 물의 흐름이 없는 정지상태로 가정한다)

Case 1 Case 2
① 50 50
② 5 5
③ 5 50
④ 50 5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 유효응력의 개념을 잘알고있으면 솔직히 눈으로도 계산을 할 수 있는 문제이나, 개념을 확실히 알아라는 좋은문제이다.
해설
지표면 안에서 수위변화가 없다면 유효응력 변화는 없다
문 20. 말뚝의 단위면적당 주면마찰력은 그림과 같은 분포 형태를 가진다. 이 말뚝두부에 축방향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축방향 하중전이곡선의 형태와 가장 유사한 것은?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상, 단순한 문제같지만 어려운 문제이다
해설
1번 기준에서는 주면마찰력은 작고 축력은 크다.
2번 기준에서는 주면마찰력은 크고 축력은 작다.
그렇다면 주면마찰력이 서서히 커짐에 따라 축하중이 작아지는것은
3번이다.
'7급 토목직 풀이 > 7급 토질역학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국가직 7급 토질역학 6~10번 해설 (0) | 2022.02.28 |
---|---|
2015년 국가직 7급 토질역학 1~5번 해설 (1) | 2022.01.28 |
2014년 국가직7급 토질역학 11~15번 해설 (0) | 2022.01.24 |
2014년 국가직7급 토질역학 6~10번 해설 (0) | 2022.01.23 |
2014년 국가직7급 토질역학 1~5번 해설 (0) | 2022.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