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국가직 7급 토질역학 11~15번
문 11. 흙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간극의 용적비 중 간극률은 반드시 1 이하이며, 간극비는 1 이상 또는 이하일 수 있다.
② 함수비가 서로 다른 동일한 흙은 액성한계도 서로 다르다.
③ 동일한 흙에서 건조단위중량은 항상 수중단위중량보다 크다.
④ 0.075mm보다 작은 입경의 흙은 소성지수와 액성한계로 흙 분류를 할 수 있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하, 흙의 성질, 기사수준의 문제
해설
① n≤100%이며 e는 1이상 가능하다. e= Vv/Vs
② 함수비와 액성한계는 서로 다른 개념이며, 함수비가 변한다고 해서 동일한 토양의 액성한계가 변하는 것은 아니며, 액성한계는 토양의 미세구조, 입자 크기 분포, 토양 미네랄 조성 등에 의해 결정되며 함수비와는 독립적이다.
③ 건조단위중량이 토양 입자 자체의 무게를, 반면 수중단위중량이 부력을 받아 감소된 토양의 무게를 나타내기 때문
④ 0.075mm보다 작은 입자를 가진 토양은 미립 토양으로 분류되며, 플라스틱 지수와 액체 한계와 같은 성질을 사용하여 분류
문 12. 흙의 압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압밀계수 값이 크면 과잉간극수압도 빨리 소산되어 압밀속도가 커진다.
② 교란된 시료에서 구한 압축지수 값을 이용하여 현장의 압밀침하량을 예측하면 실제보다 크게 예측된다.
③ 함수비가 큰 흙은 2차 압축지수 값도 크다.
④ 1차 압밀 이후 지속하중에 의한 장기적 침하발생은 흙입자의 재배열이 주원인이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 흙 압밀에 대한 이해
해설
① 압밀계수는 압밀 진행 속도를 나타내는 계수로 시간-침하곡선으로부터 구하며 압밀계수는 토양에서 간극수가 얼마나 빨리 제거 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② 교란된 시료Cc=0.007(WL-10)<Cc=0.009(WL-10)
③ 이차압축지수 Cα=△e/(logt2-logt1)으로 함수비가 커지면 이차압축지수가 커진다.
④ 옳은보기
13. 지중응력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상 등분포하중(strip load)이 지표면에 작용할 경우, 같은 깊이에서는 대상 하중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연직응력의 증가량은 점점 감소한다.
② 무한대의 등분포하중(q)이 지표면에 작용할 경우, 어느 깊이에 있는 흙이든지 입자에 작용하는 연직방향 응력의 증가량은 q값으로 동일하다.
③ 대상 등분포하중이 지표면에 작용할 경우, 특정 깊이에서 작용하는 연직응력 증가량을 모두 더하면 지표면에 작용하는 대상 하중 크기와 다르다.
④ 무한대의 등분포하중(q)이 지표면에 작용할 경우, 어느 깊이에 있는 흙이든지 입자에 작용하는 수평방향 응력의 증가량은 (K0xq)값으로 동일하다. (여기서 K0는 정지토압계수이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상, 지중응력의 이해이며 지중응력은 생각보다 7급 기출문제에 나오긴 하나 생소하고 어려운 개념이므로 이해를 잘 해야 한다.
해설
①Boussinesq’s theory에 따라 대상 등분포하중(strip load) 아래의 지표면에서 연직응력 증가량은 하중의 중심선에서의 거리에 따라 감소
②분포하중(strip load) 아래의 연직응력 증가량은
으로 대상 하중 아래의 연직응력 증가량은 대상 하중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게 됩니다. 하지만 지표면의 전체 하중은 지중의 모든 연직응력 증가량의 합계와 일치해야 함
③대상 등분포하중 아래의 특정 깊이에서 연직응력 증가량을 모두 합하면 지표면의 하중과 일치해야 한다.
④옳은 보기
문 14. 그림과 같은 지반에 허용내력이 1,000kN인 말뚝을 설치했을 때, 각 지층별 허용주면마찰력과 허용선단지지력이 발생하였다. 그 후 지하수위가 ㉠에서 ㉡으로 급강하했을 때, 말뚝의 허용지지력은? (단, 정(+) 주면마찰력과 부(-) 주면마찰력의 크기는 동일하다)
① 700kN
② 800kN
③ 1,000kN
④ 1,500kN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극상, 말뚝의 허용지지력(선지 없을 시 기술사급 문제)
해설
<문제 메카니즘>
1. 모래층의 변화: 수위가 모래층에서 급격히 떨어지면, 그로 인해 모래층 내부의 간극수(pore water) 압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모래층 내부의 입자들 사이에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기둥에 음의 마찰력(하중)을 발생시킵니다.(음의 표면 마찰 또는 드래그다운 이라고 부름)
2. 연약점토층의 변화: 수위가 연약점토층으로 내려오면, 연약점토층의 상단 부분 또한 비슷한 현상을 겪게 됩니다. 지하수가 감소하면서 포어수 압력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연약점토층 상단 부분에서도 기둥에 음의 마찰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3. 풍화토층의 영향: 풍화토층은 처음부터 수위 아래에 있었기 때문에, 지하수 수위의 급격한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 풍화토층은 원래부터 그 상태에서 일정한 압력과 마찰력을 경험하고 있었으므로, 수위의 감소로 인한 추가적인 하중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풀이>
1000 – 200 – 100 =700kN
문 15. 초기 간극비가 2.0인 18m 두께의 점토층이 압밀 후 간극비가 1.8로 감소되었다. 침하량이 75cm일 때, 지반의 평균압밀도는?
① 55.4%
② 62.5%
③ 70.0%
④ 80.0%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하, 평균압밀도 계산(기사 수준)
해설
'7급 토목직 풀이 > 7급 토질역학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국가직 7급 토질역학 16~20번 (0) | 2025.06.13 |
---|---|
2020년 국가직 7급 토질역학 6~10번 해설 (0) | 2024.07.08 |
2020년 국가직7급 토질역학 해설 1~5번 해설 (0) | 2024.04.22 |
2019년 국가직7급 토질역학 16~20번 해설 (0) | 2024.03.18 |
2019년 국가직7급 토질역학 11~15번 해설 (0) | 2024.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