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국가직 7급 토질역학 11~15번

728x90

 


11. 흙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간극의 용적비 중 간극률은 반드시 1 이하이며, 간극비는 1 이상 또는 이하일 수 있다.

함수비가 서로 다른 동일한 흙은 액성한계도 서로 다르다.

동일한 흙에서 건조단위중량은 항상 수중단위중량보다 크다.

0.075mm보다 작은 입경의 흙은 소성지수와 액성한계로 흙 분류를 할 수 있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하,  흙의 성질, 기사수준의 문제

해설

① n≤100%이며 e는 1이상 가능하다. e= Vv/Vs

함수비와 액성한계는 서로 다른 개념이며, 함수비가 변한다고 해서 동일한 토양의 액성한계가 변하는 것은 아니며, 액성한계는 토양의 미세구조, 입자 크기 분포, 토양 미네랄 조성 등에 의해 결정되며 함수비와는 독립적이다.

건조단위중량이 토양 입자 자체의 무게를, 반면 수중단위중량이 부력을 받아 감소된 토양의 무게를 나타내기 때문

0.075mm보다 작은 입자를 가진 토양은 미립 토양으로 분류되며, 플라스틱 지수와 액체 한계와 같은 성질을 사용하여 분류


12. 흙의 압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압밀계수 값이 크면 과잉간극수압도 빨리 소산되어 압밀속도가 커진다.

교란된 시료에서 구한 압축지수 값을 이용하여 현장의 압밀침하량을 예측하면 실제보다 크게 예측된다.

함수비가 큰 흙은 2차 압축지수 값도 크다.

1차 압밀 이후 지속하중에 의한 장기적 침하발생은 흙입자의 재배열이 주원인이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 흙 압밀에 대한 이해 

해설

 압밀계수는 압밀 진행 속도를 나타내는 계수로 시간-침하곡선으로부터 구하며 압밀계수는 토양에서 간극수가 얼마나 빨리 제거 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② 교란된 시료Cc=0.007(WL-10)<Cc=0.009(WL-10)

③ 이차압축지수 Cα=△e/(logt2-logt1)으로 함수비가 커지면 이차압축지수가 커진다.

④ 옳은보기

 


13. 지중응력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대상 등분포하중(strip load)이 지표면에 작용할 경우, 같은 깊이에서는 대상 하중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연직응력의 증가량은 점점 감소한다.

무한대의 등분포하중(q)이 지표면에 작용할 경우, 어느 깊이에 있는 흙이든지 입자에 작용하는 연직방향 응력의 증가량은 q값으로 동일하다.

대상 등분포하중이 지표면에 작용할 경우, 특정 깊이에서 작용하는 연직응력 증가량을 모두 더하면 지표면에 작용하는 대상 하중 크기와 다르다.

무한대의 등분포하중(q)이 지표면에 작용할 경우, 어느 깊이에 있는 흙이든지 입자에 작용하는 수평방향 응력의 증가량은 (K0xq)값으로 동일하다. (여기서 K0는 정지토압계수이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상, 지중응력의 이해이며 지중응력은 생각보다 7급 기출문제에 나오긴 하나 생소하고 어려운 개념이므로 이해를 잘 해야 한다.

해설

Boussinesq’s theory에 따라 대상 등분포하중(strip load) 아래의 지표면에서 연직응력 증가량은 하중의 중심선에서의 거리에 따라 감소

분포하중(strip load) 아래의 연직응력 증가량은

으로 대상 하중 아래의 연직응력 증가량은 대상 하중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게 됩니다. 하지만 지표면의 전체 하중은 지중의 모든 연직응력 증가량의 합계와 일치해야 함

 

대상 등분포하중 아래의 특정 깊이에서 연직응력 증가량을 모두 합하면 지표면의 하중과 일치해야 한다.

옳은 보기

 

300x250

14. 그림과 같은 지반에 허용내력이 1,000kN인 말뚝을 설치했을 때, 각 지층별 허용주면마찰력과 허용선단지지력이 발생하였다. 그 후 지하수위가 에서 으로 급강하했을 때, 말뚝의 허용지지력은? (, () 주면마찰력과 부() 주면마찰력의 크기는 동일하다)

700kN
800kN
1,000kN
1,500kN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극상,  말뚝의 허용지지력(선지 없을 시 기술사급 문제)

해설

<문제 메카니즘>

1. 모래층의 변화: 수위가 모래층에서 급격히 떨어지면, 그로 인해 모래층 내부의 간극수(pore water) 압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모래층 내부의 입자들 사이에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기둥에 음의 마찰력(하중)을 발생시킵니다.(음의 표면 마찰 또는 드래그다운 이라고 부름)

 

2. 연약점토층의 변화: 수위가 연약점토층으로 내려오면, 연약점토층의 상단 부분 또한 비슷한 현상을 겪게 됩니다. 지하수가 감소하면서 포어수 압력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연약점토층 상단 부분에서도 기둥에 음의 마찰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3. 풍화토층의 영향: 풍화토층은 처음부터 수위 아래에 있었기 때문에, 지하수 수위의 급격한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 풍화토층은 원래부터 그 상태에서 일정한 압력과 마찰력을 경험하고 있었으므로, 수위의 감소로 인한 추가적인 하중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풀이>

1000 200 100 =700kN


15. 초기 간극비가 2.018m 두께의 점토층이 압밀 후 간극비가 1.8로 감소되었다. 침하량이 75cm일 때, 지반의 평균압밀도는?

55.4%

62.5%

70.0%

80.0%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하,  평균압밀도 계산(기사 수준)

해설

 

 

 

 

728x90

댓글()

2020년 국가직7급 토질역학 해설 1~5번 해설

728x90

1. 흙의 동상 방지대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지표의 흙을 화학약품으로 처리하여 동결온도를 내린다.

배수구 등을 설치하여 지하수위를 저하시킨다.

모관수의 상승을 차단하기 위해 차단층을 지하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한다.

동결 깊이보다 높게 있는 흙을 세립질 흙으로 치환한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하,  동상방지 대책(기사수준 난이도)

해설

지표의 흙에 화학 약품처리(Cacl2,NaCl, MgCl2)를 하게 되면 동결온도를 낮춘다.

배수구 등을 설치하면 흙속에 물이 없어져 동상이 방지된다.

차단층(모래, 콘크리트, 아스팔트)은 지하수위보다 높은곳에 설치해야 효과가 있다.

세립질 흙은 동상에 취약한 흙이며, 동결이 어려운 재료(자갈, 쇄석, 석탄재)로 치환해야 한다.


2. 다짐은 역학적 에너지를 통해 흙을 조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짐 후 지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강도 및 지지력의 증가

압축성 및 침하성의 증가

지반의 안정성 증가

투수성 및 물의 흐름 감소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하,  다짐의 특

해설

흙이 압축되면 일반적으로 강도와 지지력이 증가함

토양이 압축되면, 그 입자들은 더 밀접하게 압축되어 입자 사이의 공간이나 틈이 줄어듭니다.

강도와 지지력이 증가하면 지반의 안정성이 증가함

흙이 압축되면 공극이 작아져서 투수성이 감소하게 됨.

 

다짐의 특성

강도안정성 증가: 다짐된 토양은 덜 다짐된 토양에 비해 보다 높은 내부 마찰 각과 응력 저항을 보입니다. 이는 건축물이나 도로와 같은 구조물의 부하를 지지하는 데 필요한 토양의 강도를 증가시킵니다. 이로 인해 지반의 변형이나 굴절이 줄어듭니다.

 

침투성 감소: 토양 입자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면서 물이 토양을 통과하는 능력, 즉 침투성이 감소합니다. 이는 원하지 않는 물의 침투나 수처리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압축성 감소: 흙을 다지면 그 흙의 부피 변화, 즉 압축성이 감소합니다. 이는 건축물이나 다른 구조물의 추가 부하 하에서의 토양 정착을 줄여줍니다.

 

공기 포화도 감소: 흙의 다짐은 토양 중의 공기 함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토양의 열전도도를 향상시키며, 일부 상황에서는 토양의 동결-해동 주기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옹벽의 안정성 검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옹벽에 작용하는 모든 외력의 합력 작용점이 저판의 중앙 2/3 안에 들어오면 전도에 대하여 안정하다.

활동에 대한 안전율은 보통 수동토압을 무시하면 1.5를 적용한다.

활동에 대하여 불안정한 것으로 판정될 경우 옹벽의 폭을 크게 하거나 저판 바닥면에 돌출부(전단키)를 설치한다.

옹벽의 안정은 전도, 활동, 지지력, 전체안정성(원호활동)에 대하여 검토한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  옹벽의 안정성 검

해설

모든 힘의 합력이 기초의 중간 1/3 내에 있다면 벽이 전복될 경향이 없다고 간주

B의 작용위치가 저판 중심사이의 거리e가 e < B/6

활동에 대한 안전율은 일반적으로 수동토압을 무시 시 Fs = 수평저항력/수평력 ≥ 1.5로 적용한다.

전단키는 보존벽 바닥 밑에 있는 토양과의 접촉 영역을 증가시켜, 전단 강도를 향상시키며, 보존벽과 지반 사이의 전단 힘을 증가시켜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옳은 보기이며 암기한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상,  수중무한사면의 이

해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  전단강도 계산

해설

 

728x90

댓글()

토목기사 필기 빈출문제(토질역학)-1

728x90

1. 유효응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항상 전응력보다는 작은 값이다.

    점토지반의 압밀에 관계되는 응력이다.

    건조한 지반에서는 전응력과 같은 값으로 본다.

    포화된 흙인 경우 전응력에서 간극수압을 뺀 값이다.

해설

1. 특별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에는 옳으나, 특정 조건 하에서는 잘못될 수 있습니다. 상향침투 같은 현상에서 간극수압이 음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유효응력은 전응력보다 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상황에 따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점토지반의 압밀과정에서 유효응력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압밀은 유효응력의 증가로 인해 흙 속의 물이 배출되고 흙이 압축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3. 건조한 지반에서는 간극수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전응력과 유효응력은 같은 값으로 간주됩니다.

 

4. 포화된 흙에서의 유효응력은 전응력에서 간극수압을 뺀 값으로 계산됩니다. 이는 유효응력을 정의하는 기본적인 방식이다.

 

2.포화상태에 있는 흙의 함수비가 40%이고, 비중이 2.60이다. 이 흙의 간극비는?

    0.65 0.065

    ③ 1.04 1.40

 

해설

로 부터

주어진 함수비는 40%이므로, 소수 형태로는 0.40입니다. 비중(G)은 2.60이고, 포화도(S)는 1입니다(완전 포화 상태).

 

e = 0.4 x 2.6 / 1 = 1.04

 

3. Coulomb토압에서 옹벽배면의 지표면 경사가 수평이고, 옹벽배면 벽체의 기울기가 연직인 벽체에서 옹벽과 뒤채움 흙 사이의 벽면마찰각(δ)을 무시할 경우, Coulomb토압과 Rankine토압의 크기를 비교할 때 옳은 것은?

    Rankine토압이 Coulomb토압 보다 크다.

    Coulomb토압이 Rankine토압 보다 크다.

    ③ Rankine토압과 Coulomb토압의 크기는 항상 같다.

    주동토압은 Rankine토압이 더 크고, 수동토압은 Coulomb토압이 더 크다.

 

해설

Rankine 토압 이론은 특정 조건(수평 지표면, 연직 벽, 벽면 마찰 무시) 하에서 지반의 스트레스 상태를 분석하여 토압을 계산합니다. 이 이론은 주어진 조건 하에서 최대 및 최소 토압 상태(주동 토압과 수동 토압)를 예측합니다.

 

Coulomb 토압 이론은 벽의 기울기, 지표면 경사, 벽면 마찰각 등 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 벽면 마찰각을 무시하고, 지표면 경사가 수평이며 벽이 연직이라는 조건에서 Coulomb 토압 이론은 Rankine 토압 이론과 동일한 조건에서 적용됩니다.

 

옹벽과 뒤채움 흙 사이의 벽면 마찰각(δ)을 무시하고, 옹벽 배면의 지표면 경사가 수평이며, 벽체가 연직일 경우, Coulomb 토압 이론과 Rankine 토압 이론은 같은 결과다.

 

4.포화된 점토지반에 성토하중으로 어느 정도 압밀된 후 급속한 파괴가 예상될 때, 이용해야 할 강도정수를 구하는 시험은?

    ① CU-test UU-test

    UC-test CD-test

 

해설

1. 흙 시료를 압밀 과정 없이(즉, Consolidation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배수 없이 전단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 시험은 배수 조건이 허용되지 않는 급속한 하중 조건이나 파괴 상황을 모사할 때 사용됩니다. 급속한 성토 또는 파괴 시나리오에서는 UU 시험을 통해 얻은 강도정수가 가장 적합

 

2. 흙 시료를 압밀 과정 없이(즉, Consolidation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배수 없이 전단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 시험은 배수 조건이 허용되지 않는 급속한 하중 조건이나 파괴 상황을 모사할 때 사용됩니다. 급속한 성토 또는 파괴 시나리오에서는 UU 시험을 통해 얻은 강도정수가 가장 적합

 

3. 포화된 시료가 아닌, 일반적으로 점토가 아닌 흙에 대해 사용되는 간단한 압축 강도 시험입니다. 이 시험은 측면에서의 배수나 압력을 허용하지 않으며, 시료의 단순 압축 강도를 측정

 

4. 흙 시료를 먼저 압밀한 다음, 배수 조건 하에서 천천히 전단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 시험은 장기간에 걸친 하중 조건, 즉 배수가 가능한 상태에서 흙이 변형될 때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

 

5. 현장 도로 토공에서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 결과 흙을 파낸 구멍의 체적과 파낸 흙의 질량은 각각 1800cm3, 3950g이었다. 이 흙의 함수비는 11.2%이고, 흙의 비중은 2.65이다. 실내시험으로부터 구한 최대건조밀도가 2.05g/cm³일 때 다짐도는?

    92% 94%

    ③ 96% 98%

 

해설

흙의 습윤단위중량 = 파낸 흙의 질량 / 흙을 파낸 구멍의 체적 = 3950g / 1800cm³ = 2.2g/cm³

흙의 함수비 = 11.2% = 0.112

흙의 건조단위중량 = 습윤단위중량 / (1 + 함수비) = 2.2g/cm³ / (1 + 0.112) = 1.98g/cm³

 

다짐도 = 현장 건조단위중량 / 최대건조단위중량 = 1.98g/cm³ / 2.05g/cm³ = 0.966

728x90

댓글()

2019년 국가직7급 토질역학 1~5번 해설

728x90

1. 그림과 같이 흙의 삼상체계를 표시할 때, 간극의 부피(Vv), 물만의 중량(Ww), 흙입자만의 중량(Ws)은?
(단 Wa는 공기의 중량, e는 간극비, Gs는 흙입자의 비중, w는 함수비,  γw는 물의 단위중량, Vs는 흙입자만의 부피이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하,  난이도는 낮지만 생각보다 흙의 삼상을 외우지 않는사람이 많아서 헷갈릴 수 있음

해설


2. 그림과 같은 미소요소에 수직응력과 전단응력이 작용하고 있다면, 발생 가능한 최소주응력 및 최대주응력은? (, Mohr원에서 수직응력의 경우 압축력을 (), 전단응력의 경우 반시계방향을 ()로 표시하며, 단위는 kN/m²이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  공식만 외우면 풀기쉬운 문제이기도 하지만 사분면 상에 좌표계로 풀는 방법도 알고 있어야 한다.

해설

 

 

 


3. 포화된 점성토의 압밀비배수 삼축압축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전응력과 유효응력의 파괴포락선은 동일하지 않다.
파괴 시 간극수압을 측정할 수 있다.
전단과정에서 시료의 체적변화가 발생한다.
전응력 Mohr원과 유효응력 Mohr원의 크기는 같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 

해설

과잉간극수압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응력과 유효응력의 파괴포락선은 다르다.
축차응력이 발생하면 과잉간극수압이 발생하고 파괴 시 간극수압을 측정할 수 있다.
축차응력발생 시 전단응력이 발생하나 비배수 상태기 때문에 체적변화는 없다.
간극수압으로 인하여 수직응력의 좌표가 변할뿐이지 모어원 크기는 같다.


4. Terzaghi1차원 압밀이론에 사용된 가정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흙은 완전히 포화되어 있다.
흙입자는 압축성이다.
Darcy의 법칙이 성립된다.
물은 비압축성이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하,  기사수준에서 자주나오는 문제이며 해설을 외우면 아주 편하다.

해설

 

Terzaghi 1차원 압밀이론 가정

흙은 균질하며 균등하다

흙은 완전히 포화되어 있다.

흙입자와 물은 비압축성

물은 연직방향으로만 흐르고 흐름방향으로 압밀

Darcy법칙을 따름

 

 


5. 두께가 2cm인 점토시료에 대해 상재압 20kN/m²으로 일면배수 실내압밀시험을 실시하였을 때, 10분 경과 후 평균과잉간극수압이 12kN/m ² 이 되었다. 동일한 점토로 구성된 4m 두께의 점토층이 양면배수조건에서 40% 압밀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 압밀도 40%60%에 대한 시간계수 Tv는 각각 0.130.29이다)

50025,000100,000 400,000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하,  공식만 알고있으면 쉽게 푸는 문제이다.

해설

 

 

728x90

댓글()

2018년 국가직7급 토질역학 16~20번 해설

728x90

 

16. 지반의 미소요소에 그림과 같은 응력이 작용하고 있다면, 수평면과 45° 기울어진 단면 AA에 작용하는 수직응력과 전단응력은? (, Mohr원에서 수직응력의 경우 압축력을 ()로 전단응력의 경우 반시계방향회전을 ()로 표시하며, 응력의 단위는 kN/m²이라 가정한다)

 

수직응력 전단응력

300   100

300       100

100   100

100       100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하,  MohrCoulomb의 파괴이론에서 공식만 잘 뽑아쓰면 된다

해설

수직응력 공식
전단응력공식

 

위 공식으로부터 숫자를 대입하면


17. 점성토 지반의 내부마찰각)30°, 선행압밀압력(Pc)200kN/m², 현재 받고 있는 유효연직응력(P)50kN/m²일 때, 과압밀계수(OCR)를 활용하여 구한 이 점성토 지반의 정지토압계수는?

2.0
1.5
1.0
0.5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상,  과압밀비를 이해하고 과압밀비에 따라 지반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따라 정지토압계수를 구하는 것이 달라진다. 그리고 2019년 2020년? 시험에서 과압밀점토일때 정지토압계수를 새롭게 정의했으므로 암기하고 가야한다.

해설


18. 흙의 간극을 물이 아닌 기름이 채우고 있다. 흙의 비중(Gs)2.65, 물의 단위중량(γw)이 10kN/m³ 기름의 단위중량(γoil)은 9kN/m³기름의 포화도(S)는 50%이며 간극비(e) 1일 때, 이 흙의 단위중량은?

① 16.5kN/³
② 16.0kN/³
③ 15.5kN/³
④ 15.0kN/³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상,  흙의 3상을 이해하지 못하면 어려운 문제이다.

해설


19. 다짐 시 최적의 다짐상태는 최적함수비보다 함수비가 작은 건조 측에서 또는 최적함수비보다 함수비가 큰 습윤 측에서 도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점성토의 다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낮은 압력에서는 최적함수비의 건조 측 압축성이 습윤 측 압축성보다 작다.
② 최적함수비의 건조 측 투수계수가 습윤 측 투수계수보다 작다.
높은 압력에서는 최적함수비의 건조 측 압축성이 습윤 측 압축성보다 크다.
최적함수비의 건조 측 강도가 습윤 측 강도보다 크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  기사에서도 자주나오는 문제이고 앞으로도 자주 출제될 문제이니 잘 봐두도록 하

해설

① 낮은 압력에서는 면모구조를 파괴할 압력에 미치지 못하므로 면모구조 압축성이 습윤 측 압축성보다 작다.
② 최적함수비의 건조 측 투수계수가 습윤 측 투수계수보다 크며 그 이유는 건조 측에서는 입자 배열이 불규칙적이므로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극이 많기 때문이다.
③ 높은 압력에서는 면모구조 사이사이 공극을 더 크게 줄이므로 이산구조보다 압축성이 크다.
④ 면모구조가 이산구조보다 결합력이 크므로 강도가 더 크다.

 


20. 지반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세관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모세관현상의 상승고는 입경이 작을수록 증가한다.
모세관현상이 발생된 구역에서는 부()의 간극수압이 발생하므로, 전응력이 유효응력보다 작다.
③ 모세관현상이 시작되는 자유수면에서의 간극수압은 물의 단위중량×모세관의 상승고이다.
모세관현상이 발생하는 구역이라 할지라도 포화도가 반드시 100%인 것은 아니며, 자유수면으로부터의 높이에 따라 포화도는 변할 수 있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 

해설

모세관현상의 공식은 두개로 이루어지는데.

이로부터

1. 모세관상승고 높이는 입경이 작을수록 증가한다.


2.  모세관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수면을 전수두0으로 가정할 경우 부의 간극수압이 발생한다.

3. 자유수면의 간극수압은 0이다.

4. 모세관현상이 발생하였다고 포화된것은 아니다

728x90

댓글()

2017년 국가직7급 토질역학 16~20번 해설

728x90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하,  자주나오는 문제이고 랭킨토압과 쿨롬토압에 관한 개념은 필수로 숙지해야한다.

해설

1) 주동토압계수는

 

이므로 파이가 증가하면 주동토압은 감소하게 되어있다.

2) 

그림을 보면 수동파괴면은 수평에 대하여 45-Φ/2 를 이루고 랭킨 주동파괴면은 45+Φ/2의 각을 이룬다.

3) 벽체의 변위가 발생 후 흙의 거동이 생긴 후에 주동 또는 수동통압이 발현된다.

4) 맞는말이다


17. 흙의 다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양족롤러는 점성토 지반을, 진동롤러는 사질토 지반을 다질 때 효과적이다.

점토는 함수비가 최적함수비보다 작은 건조측에서 다져질 경우 분산구조를 가진다.

동다짐 공법의 지반개량심도는 추의 무게와 낙하고 등에 주로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시료의 세립분 함량이 증가할수록 최대건조단위중량은 감소하고, 최적함수비는 증가한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 , 기사에서도 가끔 나오는 문제이지만 암기 문제이다. 하지만 롤러의 그림을 안다면 유추하기가 쉽다.

해설

양족롤러(왼), 진동롤러(우)

1) 양족롤러 생긴거보자 뾰족한 부분들이 있다 흙을 꾸욱 짜내서 물을 빼낸다, 진동롤러는 흙을 흔들어서 흙 사이의 공기를 빼낸다

2)

3) 맞는말이고 지반개량심도는 보정계수와 무게, 높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4) 맞는말이다.


18. 그림과 같이 일정한 수위가 유지되면서 물이 토사층을 통과하여 하부로 흘러갈 때, 토사층 상단 A점과 하단 B점에서의 유효응력의 차는? (, 흙의 포화단위중량은 20kN/m³이며, 물의 단위중량은 10kN/m³이다)

50kN/m²  95kN/m²

③ 140kN/m²  185kN/m²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상,  비슷한 문제를 풀어보면 쉬울수도 있지만 이해하는 과정이 어렵다.

해설


19. 말뚝기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말뚝은 시공방법에 따라 크게 타입말뚝, 매입말뚝, 현장타설말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계(극한)주면마찰력이 발현되기 위한 말뚝의 침하량은 극한선단지지력이 발현되기 위한 말뚝의 침하량보다 작다.

③ 타입말뚝은 항타관입 시 소음 및 진동이 많이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동일한 직경 및 크기를 가지는 매입말뚝의 지지력보다 작다.

연약지반에 설치된 말뚝은 지하수위가 저하되면 부주면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  이해도하고 암기도 해야하는 문제이다.

해설

타입말뚝은 항타입 시 소음 및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것은 맞으나, 매입말뚝보다 지지력이 크다.
때려박는게 지지력이 크겠냐 땅파놓고 말뚝 심는게 튼튼하겠나..


20. 그림과 같이 지진으로 인하여 호안에 설치된 중력식 옹벽의 배면지반에 액상화가 발생하고 진동이 끝난 후에도 액상화 상태가 유지될 때, 진동이 끝난 후 옹벽 양쪽 연직면에 작용하는 수평력의 차는?

 

0 166kN/m

250kN/m 500kN/m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상,  지진이 발생 했을때 수평력에 대한 개념이 없으면 실수 하기 쉽다.

해설

지진 후 액상화 발생 시 토압은 수중단위중량으로 계산하지 않고 Ka를 고려하지 않는다

 

728x90

댓글()

2016년 국가직 7급 토질역학 1~5번 해설

728x90

 

1. 점토의 공학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점토의 비율이 증가하면 흙의 소성지수(PI)도 증가한다.

예민한 점토의 현장 함수비는 액성한계보다 클 수 있다.

③ 점토의 함수비는 100%를 초과할 수 없다.

점토의 액성한계는 100%를 초과할 수 있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하, 기사에서도 나오는 문제이므로 어렵다고 생각하면 안되는 문제이다.

해설

1)

로 정의할 수 있는데 , 점토의 비율이 증가하면 자연스럽게 PI가 증가하게 된다.

2)

예민비는

로 정의 할 수 있다. 
여기서 예민하다는 히빙가능성이 높고 이것은 파이핑으로 이어 질 수 있다는 결론이 내려진다.

3)

함수비는

로 정의되는데 100퍼센트가 넘어갈 수 있다.

4)

맞는말이다.


2. 포화 점토시료(Φ=0)의 일축압축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최대 주응력 면과 파괴면이 이루는 각도는 45°이다.

② 최대 주응력의 크기는 일축압축강도의  1/2이다.

Mohr 응력원을 작도하였을 때, Mohr 응력원의 반경은 점착력의 크기와 같다.

일축압축시험은 구속압력(σ3)이 0인 비압밀 비배수(UU) 시험결과와 동일하다.

 

300x250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 자주나오는 문제이고 선지 하나당 아주 주옥같다.

해설

※ 점토의 일축압축시험 = 완전포화, 비배수상태 = (Φ=0) 이것을 암기해두자

1)

파괴면과 최대주응력면이 이루는 각은 90도 이므로 그 1/2인 45도이다.

2)

최대 주응력의 크기는 일축압축강도와 같다

3)

모어원의 반경은 위 그림을 보다시피 점착력과 같다

4)

맞는 말이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하,  당장에 그림만보면 당황할 수 있지만 진짜 쉬운문제이다.

해설

<A상태>
지하수위와 지표면이 같아질때 가장위험한 상태이다

<B상태>
지하수위가 지표면보다 높으면 완전건조사면과 같은 상태이다.

둘을 나누어보면 포화단위중량/수중단위중량 = 2 라는 답이나온다


4. 말뚝의 지지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주면)마찰력은 말뚝 주변 지반의 침하량이 말뚝의 침하량보다 클 때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군(무리)말뚝의 지지력은 단일말뚝의 지지력을 합한 값보다 크다.

모래지반에서 말뚝의 주면마찰력은 근입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모래지반에서 말뚝의 주면마찰력은 말뚝의 시공방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  기사에서도 나오는 문제이지만 공무원에서 자주나오는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한번 풀어두면 굉장히 쉬운문제이다.

해설

1)
부주면 마찰력은 압밀이 발생하면 상대적인 변위(속도)에 의해서 발생한다

2)
Qag(군항) = Qa x N x E(단일말뚝의 지지력의 합한 값보다 작다)
효율은 100%가 나올 수 없다.


3)
주면마찰력은 15D~20D사이에서 일정해지는 구간이 온다.

4)
시공방법에 영향을 받게 되어있다.


난이도 및 평가

난이도 중, 지반상태가 완전 같았다면 난이도가 굉장히 쉬웠겠으나 B의 지반상태가 다르므로 중을 준다.

해설

 

 

728x90

댓글()

[토질 및 기초]지반조사

기술사|2022. 3. 8. 00:06
728x90

 개요

 ○ (정의) 특정지역에서 건설 또는 건축 시 지반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수단

 ○ (조사방법) 간접적 조사방법과 직접적 조사방법이 있음
  - (간접조사) 기존에 나와있는 자료(국토지반정보 포털시스템)을 조사하는 방법
  - (직접조사) 현장답사 또는 물리적탐사, 사운딩, 보링 등 다양한 시험

 목적

 ○ 건설공사에 필수적인 지반의 특성을 확인 후 설계, 시공, 감리사 등 현장감독자에게 제공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공사를 수행하기 위함

 ○ 지반조사를 하지 않을경우 아주 큰 리스크가 일어날 수 있음, 밑은 아산의 한 아파트의 부등침하가 발생하였으며 이 경우 아파트를 철거 후 다시 공사해야하므로 공사비 및 공기의 지연을 초래함 따라서 건설공사의 완벽함을 위해서는 돈이 더 들어가더라도 지반조사를 필수적으로 해야함

<목적의 요약>
 ○ 구조물의 위치선정 
 ○ 시공계획관리 및 확인
 ○ 급경사지와 같은 재해위험지구의 사고 대책수립
 ○ 안전평가 및 유지관리
 ○ 재료의 선정

 조사순서

 ○ 지반조사는 일반적으로는 예비조사 -> 본조사 -> 보완조사 단계로 이루어 진다. 하지만 소규모 공사(7억 미만)의 경우는 조사단계의 일부를 생략가능하며 대규모 및 국가기반시설공사는 본 조사 뿐만아니라 정밀조사또한 시행할 수 있음

 

 - (예비조사) 부지선정, 노선 또는 구조물의 위치결정을 위하여 넓은 범위를 조사, 기존자료(지질도 및 관련 지도)를 토대로 조사를 하기도하며 현장답사 또한 병행을 함
 - (본 조사) 개략조사와 정밀조사로 구분되며 대표적으로 지표지질조사, 시추조사, 현장시험, 실내시험 등이 포함이 된다.
 - (보완 조사) 본 조사 후 불안정성이 보이거나 본 조사에서 지반상태 확인의 한계성이 드러날 경우 보완조사를 하여 적정성을 검토하는 것

 

 종류

 ○ 보링(Boring)
   - (목적) 지반의 구성상태, 지하수위 파악, 불교란 시료 채취 등
   - (종류) 수동식 오거보링, 충격식 보링, 회전식 보링
 ○ 사운딩(Sounding)
   - (방법) 로드 선단에 있는 저항체를 땅 속에 삽입후 관입, 회전, 인발 등으로 특정 값이 나오는데 그것으로 지반의 특성을 파악한다.
   - (종류) 동적방식(타입식), 정적방식(압입식, 회전관입, 인발 등)

728x90

댓글()